10/26 모의면접 (with 주혜)
기술면접 1일차(인수)기술면접 1일차(주혜)10/27 모의면접 (with 주혜)(with 코드스테이츠)
인성기술면접 2일차(인수)기술면접 2일차(주혜)10/28 모의면접
기술면접 3일차(주혜)기술면접 3일차 (인수)- 입사에필요한JS기술(주혜님멘토강의영상)
10/29 모의면접
기술면접 4일차 (주혜)기술면접 4일차 (인수)10/31 모의 면접
기술면전 5일차 (주혜)기술면접 5일차 (인수)기술면접 6일차 (인수)피드백
- 자기소개 할 때, 어.... 너무 많다.
- 차트관련
- canvas VS svg (속도)
- d3는 음식을 직접 만드는 것, chart.js는 만들어진 음식을 구매하는 것
- d3는 x,y축, 경로,범례,레이블, 상호작용을 직접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학습과 구현에 있어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었다 → 개발시간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d3와 같은 svg기반이 아닌 canvas 기반 데이터 시각화 라이브러리를 고려
- canvas - Javascript를 이용하여 지정된 공간에 그래프를 그리도록 함
- svg - XML의 하나의 종류, 코드로 그래프를 표현하는 것
- chartjs
- 공식문서사용성, 다양한 event기능을 지원, 높은 다운로드수
- ApexChart - selection기능
- DNS는 UDP통신 (속도가 중요하니까)
- TS 질문
- javascript (인터프리터)
- HashTable 시간복잡도
- O(N)
- 이벤트위임 단점
- 이벤트 위임을 사용하려면 이벤트가 반드시 버블링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몇몇 이벤트는 버블링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낮은 레벨에 할당한 핸들러엔 event.stopPropagation()를 쓸 수 없습니다.
- 컨테이너 수준에 할당된 핸들러가 응답할 필요가 있는 이벤트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모든 하위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응답해야 하므로 CPU 작업 부하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부하는 무시할만한 수준이므로 실제로는 잘 고려하지 않습니다.
- 메모리공간
- code, heap, stack, data
- code: 코드
- data : 전역변수
- stack: 변수, parameter
- heap : 동적data
- const 호이스팅
- 이루어지긴 하는데, 일어나지 않는 것 처럼 동작한다.
ts질문? 이벤트위임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