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 프로젝트소개 PPT
- markdown 변환모음 (스마트에디터사람들은 다알게죠?)
- 기획 - 마크다운스펙분석
- 구현
- 컴파일러 이론 분석
- 각단계 소개
- 개선
(~7분)
구체화-개션
어디를 강조하고 싶은지 궁금?
- 질문할 것은 미리 다 말한 느낌
10:23분
OS
-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 good.
- 프로세스와 스레드
- code, data, heap, stack 영역 상세
- 스레드간의 통신 방법
- 메모리영역을 공유하는 부분을 통해
- 사용자 수준 스레드 vs 커널수준스레드
- 캐시
- RAM과 CPU의 속도차이로 발생하는 병목현상을 해결
- OSI 7계층
- OSI 7계층 (물리-응용까지)
IP할당은 네트워크계층
- 프록시 서버
- 필요한 이유
- 보안과 성능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사용
- IP주소를 직접적으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보안성
- 성능적인 부분 캐시
- CDN, DNS
- DNS
- 실제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
- CDN
- 여러 서버를 두고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함 good
- 디자인 패턴은 무엇이고 왜 사용
- 확장 가능하다.
- 어떻게 찾고 사용하게 되었는지
- 새로운 걸 배우고 적용하고 싶은 욕심으로.
- Composit 패턴
- 개별 객체와 복합객체를 구분하지 않는 패턴
- 장점 트리구조에서 루트노드에서 동일한 처리를 갖도록 함
- template 패턴
- 추상메소드, 구현하는메소드 있을 때, 특정 부분 단계가 다를 때에, 공통 로직은 상위에 두어서 사용하는 것
- 장점 상위에서 공통적인 버그 fix 가능, 확장성 가지고 있다.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이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밍 하는 기법
- 객체들의 상호작용은 method로 표현
- 장점
- 로직들의 분리
- 하나의 클래스가 하나의 일만 하기 때문에
- 스마트에디터 왜 지원했는가
- 사용해본 서비스를 개선하고 싶었다.
- markdown 문서변환 관심
- 이 부서에 들어왔을 때,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 문서변환 모델 측면에서 담당가능
- UX 디자이너가 따로 없기 때문에, 사용성을 고려하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역질문
- 회사를 다니면서 어떠한 점에서 가장 만족스러우신지. 어떤점들이 좋았는가
- 어떤 사원들이 기억에 남으시고, 책임 리더님들은 사원때 혹시 어떤 노력을 하셨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