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 28 ~ 12 : 48
발표
- 리렌더링 최적화
- 렌더링 최적화
- debounce, throttle
기술
- 해시맵이 무엇이고, 해시충돌은 뭔지?
- reverse proxy?
-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기법?
- 세션, 쿠키의 차이점?
- HTTP 통신 과정에서 상태 정보 담아둘 수 없어서(무상태성) 보완하기 위한 방법
- 쿠키 : 클라에 쿠키 정보를 넣어서 저장
- 세션 : 정보 보안을 서버에서 담당
- 세션 설정 어떻게?
- 쿠키 사용하는데 무슨 차이?
- 메모리 영역 Code, Data, Heap, Stack 영역
- Code = 실제 실행할 코드들
- Call Stack = 실행중인 함수들의 컨텍스트, 원시타입
- Heap = 참조타입
- Data?
- Call Stack에는 원시, Heap에는 참조인데 왜
- 참조는 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Heap이라는 유동적인 공간에 따로 저장
- 쓰로틀, 디바운스 기법?
- 경험은?
- 날짜이동에서 디바운스 사용해봄
- 일정 시간 이후에만 데이터 요청
- set, map, list 차이점?
- set = 공통 데이터를 하나로 처리 (?)
- scss를 사용하는 이유?
- 장점
- 변수명 지정
- nesting → 가독성
- mixin → 특정기능 함수화해서 반복적으로 사용 (반응형에 사용해봄)
- 단점?
- 빌드 단계에서 부피가 커서 성능 단점 있을 수 있다
- Reflow, Repaint 언제 일어나는지?
- reflow ⇒ DOM 요소 크기, 위치 변화 → 레이아웃 다시
- repaint ⇒ 레이아웃 말고 색상 등 변화 → 페인트 다시
- Reflow 줄이는 방법?
- tree에 영향을 받는 범위를 최대한 잘게 쪼개서 나누면 변화가 이루어진 부분만 reflow만
- position: fixed, absolute (아마)
- js는 어떤 가비지 컬렉션 알고리즘을 사용하나요?
- mark and sweep
- mark = 방문가능한 모든 노드객체 방문 체크
- sweep = 수거
- 방문 시작은 어디?
- 루트 노드는 어떤거?
- MVC 패턴이란?
- Model, View, Controller로 구분해서 코드 작성하는 패턴
- Model = data 표현
- View = data 받아서 화면에 출력
- Controller = data 변화가 있을 때, 변화된 부분을 View에 반영
- MVC 패턴 장점?
- 각 부분이 맡은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분됨 → 코드 작성, 가독성, 관심사 분리
- 관심사 분리는 왜 하는게 좋을까?
- 전체적인 유지보수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 새 기능 추가, 기존 기능 수정시 코드가 모여있다면 추가, 수정이 쉬워질 것
- Typescript의 제네릭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마크업이란?
- HTML처럼 ..
- url 축소 서비스를 어떻게 만드실 건가요?
- (redirection 관련 질문)
- css 우선순위?
- root 엘리먼트의 배경, 테두리
- 자식 엘리먼트들 → HTML 등장 순서대로
- position이 지정된 자식 엘리먼트들 → HTML 등장 순서대로
답변
모든 엘리먼트들에 z-index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다음 순서로 아래에서 위로 쌓인다.
- let, const, var 차이점?
- 모두 변수 선언 키워드
- let, const → block scope
- const = 상수 선언, 재선언 재할당 X
- let = 재할당 O
- var → function scope
- React state, props 차이점
- props = 부모 → 자식 데이터 내려줄 때
- 불가
- state = 컴포넌트 내에서 데이터 관리할 때
- setState로 변경
-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세가지는 무엇인가?
- 안정성
- 마음이 안정된 상태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 좋아하는 일,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하는데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있다.
- 남과 관계를 잘 맺는것
- 혼자보다 남들과 할 때 더 좋고, 가치를 더 드러낼 수 있다
-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살아가는 것
- 내가 하고싶은 일을 최대한 많이 시도, 경험해보는 것
- 일단 시도를 해보자!
- ex. 군대에서 대학준비, 비전공자이지만 개발에 관심, 창업동아리에서 개발자로 일해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