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변화


원형
- 이더넷은 다수의 컴퓨터가 여러 상대와 자유롭게 적은 비용으로 통신하기 위해 고안된 통신 기술임
- 이더넷의 원형은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트랜시버를 통해서 신호를 흘리는 역할만 하여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전체에 신호가 흐르고 네트워크에 있는 모드에게 신호가 도착하게 됨
- 그리고 수신 MAC 주소를 확인하여 자신의 MAC 주소와 같으면 받고 아니면 폐기
- 실제로는 동시에 복수의 기기가 신호를 송신하면 신호가 충돌하므로 그에 따른 대비책이 결정되어 있음( 이부분은 복잡). 스위칭 허브 보급에 따라 신호가 충돌하지 않게 됨
리피터 허브
- 리피터 허브를 이용한 파생형에서는 트렁크 케이블 → 리피터 허브 로 바뀌게 되고 트랜시버 케이블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로 바뀜
- 모습은 바뀌었지만 신호가 모두에게 전달되는 기본적인 성질은 변하지 않음
스위칭 허브
- 모두에게 신호가 전달되지 않고 수신처 MAC 주소로 나타내는 원하는 기기가 존재하는 부분에만 신호가 흐르게 됨
이더넷 핵심
- MAC 헤더의 수신처 MAC 주소에 기억된 상대에게 패킷 전달
- 송신처 MAC 주소로 송신처 나타내고
- 이더 타입으로 패킷 내용 표현
이 세가지 성질을 가진 것이 이더넷이라고 생각하면 됨
무선 LAN에도 해당됨. 무선 LAN에는 이더 타입이 없지만 같은 역할을 가진 정보가 있으므로 그것도 이더 타입과 같다고 생각해도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