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의 기본 동작리소스 레코드, 조회 메시지설정 파일에 등록하는 내용. 1건 분의 등록정보를 ‘리소스 레코드’도메인의 계층담당 DNS 서버 찾는 과정도메인 정보 등록 방식www.lab.glasscom.com 찾는 과정DNS 서버에 캐시 기능 존재
DNS 서버의 기본 동작
리소스 레코드, 조회 메시지
- DNS 서버의 기본 동작은 클라이언트에서 조회 메시지를 받고 조희 내용에 응답하는 형태
- 조회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 이름 : 서버나 메일 배송 목적지(메일 주소에서 @ 뒷 부분의 이름)와 같은 이름
- 클래스 : DNS의 구조를 고안했을 때 인터넷 이외에도 네트워크에서의 이용까지 검토하여 이것을 식별하기 위해 클래스라는 정보를 준비. 지금은 인터넷 이외의 네트워크는 소멸되었으므로 클래스는 항상 인터넷을 나타내는 IN 값
- 타입 : 이름에 어떤 타입(종류)의 정보가 지원되는지를 나타냄. A : IP주소, MX : 메일 배송 목적지
설정 파일에 등록하는 내용. 1건 분의 등록정보를 ‘리소스 레코드’
이름 | 클래스 | 타입 | 클라이언트에 회답하는 항목 |
www.lab.cyber.co.kr | IN | A | 192.0.2.226 |
cyber.co.kr | IN | MX | 10 mail.cyber.co.kr |
mail.cyber.co.kr | IN | A | 192.0.2.227 |
도메인의 계층
- 전 세계에 막대한 양의 도메인 정보를 하나의 DNS 서버에 다 등록하는 것은 불가능함 → 도메인의 정보를 분산시켜 다수의 DNS 서버에 등록 & 연대하여 정보 등록 위치 찾아냄
- DNS의 계층 구분 예시 : www.lab.cyber.co.kr
- kr사업부 co 부 cyber과 lab 팀 www 라는 이름과 같음
- 오른쪽에 위치한 것이 상위의 계층
- kr 도메인 아래에 co 도메인이 있고 그 아래에 cyber 도메인이 있고 …
- 도메인 분할 예시
- 회사의 도메인이 example.co.kr이라면 그 도메인의 아래에 sub1.example.co.kr, sub2.example.co.kr과 같은 몇 개의 도메인을 만든 후 사업부마다 하위 도메인을 할당할 수 있음
- 실제 도메인 설명 : www.cyber.co.kr
- kr : 대한민국에 할당된 도메인
- co : 국내의 도메인을 분류하기 위해 설치된 도메인이며, 회사를 나타냄
- cyber : 회사에 할당된 도메인
- www : 서버의 이름
담당 DNS 서버 찾는 과정
- 그래서 중요한 것은 내가 액세스 하려는 대상 웹 서버가 어느 DNS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찾아내는 방법임
도메인 정보 등록 방식
- 하위의 도메인을 담당하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그 상위의 DNS 서버에 등록
- 그리고 상위의 DNS 서버를 또 그 상위의 DNS 서버에 등록하는 식으로 차례대로 등록함
- 즉, lab.glasscom.com 이라는 도메인을 담당하는 DNS 서버를 glasscom.com의 DNS 서버에 등록하고, glasscom.com의 DNS 서버를 com 도메인의 DNS 서버에 등록하는 식임
- 위의 예시에서는 com이나 kr이라는 도메인(최상위 도메인)이 제일 상위 인것 같지만 사실은 그 위에 루트 도메인 이라는 도메인이 있음
- 루트 도메인에는 com이나 jp라는 도메인명이 없으므로 보통 도메인을 쓸 때는 생략함
- 명시적으로 써야 하는 경우에는 www.lab.glasscom.com. 처럼 맨 마지막에 마침표를 찍어서 루트 도메인을 나타냄
- 마지막 한가지. 루트 도메인의 DNS 서버를 인터넷에 존재하는 DNS 서버에 전부 등록하는 것 ⇒ 어느 DNS 서버도 루트 도메인에 액세스 할 수 있음
- 루트 도메인의 DNS 서버에 할당된 IP 주소는 전 세계에 13개밖에 없고 좀처럼 변경되지 않음
- 루트 도메인의 DNS 서버에 관한 정보는 DNS 서버 소프트웨어와 함께 설정 파일로 배포되어 있으므로 DNS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등록 완료됨
www.lab.glasscom.com 찾는 과정

- 클라이언트의 가장 가까이에 있는 DNS 서버(클라이언트의 TCP/IP 설정 항목의 DNS 서버로 설정되어 있는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대한 웹 서버 정보 조회
- 거기에는 해당 도메인 정보 없다면 DNS 서버가 루트 도메인 DNS 서버로 메시지 전송
- 루트 도메인에는 www.lab.glasscom.com 이름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com 도메인 아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com 도메인의 DNS 서버의 IP 주소 반송
- glasscom DNS 서버는 lab DNS 서버 IP 주소 반송
- lab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 반환
- 참고 : 그림에서는 도메인마다 따로 DNS 서버를 썼지만 현실에는 상위와 하위의 도메인을 같은 DNS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도 있음.
DNS 서버에 캐시 기능 존재
- DNS 서버는 한 번 조사한 이름을 캐시에 기록함
- 조회한 이름이 도메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캐시에 보존할 수도 있음
- 주의점 : 캐시 정보 저장 후 등록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해당 캐시는 유효기한을 설정하고 기간이 지나면 캐시에서 삭제함
- 또한 조회에 회답 시, 해당 정보가 캐시 정보인지 DNS 서버에서 회답한 것인지도 알려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