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혁(20분 소요)
- 자기소개
-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
- 창업동아리 기획 → 개발 접함, 문제 이슈를 직접 해결 → 개발에 흥미를 높임
- 두번의 부트캠프?
- 1: 기획, 개발에 흥미, 체계적인 커리큘럼 필요
- 개발 경험 없는 사람들을 위한
- 2: 웹 프론트엔드 지식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 프론트엔드 집중 학습
- 가장 크게 얻었다고 생각하는 소득
- 개발을 업으로 삼을 수 있을 정도로 흥미가 있다
- 기술적인 역량의 성장
- 혼자 개발 vs 협업
- 강점은 협업이라고 생각, 다른 사람들과 함께 뭔가 채워나갈 수 있다.
- 더 재미있다.
-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했나요
- 독서, 기술
- 책을 읽으면서 생각나는 것 간단히
- 클린 코드 → 가독성이 중요함을 알았지만, 실제로 왜 좋은지를 깨닫고 적용할 수 있게 됨
- 생산성, 비용 줄일 수 있음
- 기술적으로 적용을 해 본 경험이 있는지?
- 뎁코에서 적용
- 파일, 컴포넌트를 읽을 때 해당 파일이 하는 역할의 주요 로직과 세부 구현 부분을 분리
- 어떤 방식으로 협업을 하는지
- 서폿
- 회의 결과 문서화, 리마인드
- 같은 그림을 바라보고 있는지 제시하는 역할
- 갈등이 있다면 어떻게 해결하고 싶은지
- 갈등이 유형이 다르다
- 장점과 단점
- 장점: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려고 한다, 몰입을 잘한다
- 실제 경험 사례 제시
- 단점: 생각이나 걱정이 많은 편
- 기준이 높다
수경(23분)
-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자신의 단점은?
- 🧑🏻💼 멀티태스킹에 약함
- 협업에 두 가지 기능이 잡힐 때 → 스스로 우선 순위
- 해결은?
- 🧑🏻💼 FE 우선 수위 vs BE 우선 순위 일정 겹침
- 당시에는 해결 X, 미리 사전에 테스크 관리를 해야한다고 생각
- BE 갈등 경험
- 🧑🏻💼 카카오 OAuth BE에서 어려움을 겪음
- 3일이 지나도 진행 X → 오프라인 만남 제안 → 같이 공부
- 3일 동안 어떤 작업을 했나
- 🧑🏻💼 각자 인증 로직 공부 + FE, BE 작업 생각
- 미리 인증 전략에 대해 토킹
- Recoil 사용한 이유?
- 🧑🏻💼 인턴 과제에서 처음 접함
- 공부해보자는 마음, hook처럼 사용해서 편함, select를 통해 파생 상태 ~~~
- ContextAPI한 이유?
- 🧑🏻💼 가장 기본적인 상태 관리를 위한 기능
- Storybook을 사용하면서 직접 느낀 장점은?
- 🧑🏻💼 컴포넌트 구현할 때 불필요한 비용 감소
- 백엔드에서 진행을 확인할 수 있음
- 좋은 추상화란 무엇인가?
의도
스토리북 사용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 🧑🏻💼 드러내고 싶은 부분이 핵심을 담고 있느냐 감추는 부분은 잘 감추고 있느냐
- hooks
- 앞으로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가요?
- 🧑🏻💼 단기적 : 회사에 들어가서 적응을 빨리 하는 것, 기여했을 때 뿌듯함을 느낌
- 🧑🏻💼 장기적 :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개발자, 멘토링 → 팀 성장에 기여
1️⃣ React Suspense는 무엇인가요? 설명해주세요
❓질문 의도
Recoil 사용 질문에서 React Suspense 지원을 한다는 답변에 대한 꼬리질문입니다
💬 답변
에어팟이 끊겨서 못 들었어요..ㅠ
2️⃣ KaKao OAuth 구현을 하셨는데 OAuth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질문 의도
인성 질문에서도 언급했고 이력서 자체에서도 작성해서 질문했어요 :)
💬 답변
OAuth는 제 3자를 통해서 인증을 거치는 인증 방법 중 하나
서비스 자체의 로그인 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이러면 유저 경험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
인증을 위임하는 하나의 방법
3️⃣ 테스트 도구로 Cypress를 사용하셨는데 왜 사용하셨나요?
❓질문 의도

💬 답변
e2e 테스트로 알려져있지만 테스트를 시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선택했다
그래프의 변화를 체크, 테스트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라고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