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 서버 배치장소에 따른 특징웹 서버 직전에 캐시 서버(리버스 프록시)클라이언트 측에 캐시 서버(포워드 프록시)인터넷의 주위에 캐시 서버를 두는 경우가장 가까운 캐시 서버에 접근하는 과정
캐시 서버 배치장소에 따른 특징

웹 서버 직전에 캐시 서버(리버스 프록시)
- 인터넷을 흐르는 트래픽을 억제하는 효과는 없음
- 웹 서버의 부하를 줄여줄 수는 있음
클라이언트 측에 캐시 서버(포워드 프록시)
- 인터넷의 트래픽을 억제하는 효과는 높음(인터넷 안넘어가도 되니)
- 클라이언트 측에 캐시 서버를 설치하므로 서버 운영자는 캐시 서버를 제어할 수 없음
- 예를 들어 웹 서버 운영자가 최근 콘텐츠의 용량이 커져서 캐시 서버의 용량을 높이고 싶을 때, 클라이언트 측에 캐시 서버가 있으면 그럴 수가 없음
인터넷의 주위에 캐시 서버를 두는 경우
- 프로바이더와 계약하여 웹 서버 운영자가 제어할 수 있는 캐시 서버를 클라이언트 측의 프로바이더에 두는 방법임
-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장소에 캐시 서버를 설치하면서 이것을 웹 서버 운영자가 제어할 수 있게 됨
- 문제점
- 인터넷의 어디에서 액세스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프로바이더의 PoP 모두에 캐시 서버를 설치해야 하지만 수가 너무 많으므로 비현실적임 → 중요한 프로바이더에만 중점을 두고 설치할 수 있음
- 아무리 수를 줄여도 웹 서버 운영자가 스스로 프로바이더와 계약하여 캐시 서버를 설치하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님 ⇒ 콘텐츠 배포 서비스(Content Delivery Service)를 이용!
가장 가까운 캐시 서버에 접근하는 과정


- 캐시 서버의 설치 장소에 있는 라우터에서 경로 정보를 서버측의 DNS 서버에 모아둠
- 해당 경로표를 사용하여 DNS의 조회 메시지의 송신처, 즉 클라이언트 측의 DNS 서버에 이르는 경로 정보를 조사함
- 인터넷 내부의 경로 정보에는 프로바이더 X를 지나고, 그 다음은 프로바이더 Y를 지나서 프로바이더 Z에 이른다는 형태로 경로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대략적인 거리도 알 수 있음
- 실제로 클라이언트 측의 DNS 서버는 반드시 클라이언트와 같은 장소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지는 못하지만, 웬만큼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