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공통 스크럼7/21 백엔드 TODO7/21 프론트 TODO 🏓 주말 회의 어떤가용 ? 주말 스프린트주말 스크럼 프론트백엔드🐯 프로젝트 이름 프론트백엔드🪐 코어타임 시간 및 스크럼 참여 인원 ⇒ 코어타임 default, 모두참여결론 : 공통 스크럼은 모두 참여하고 너무 지체된다 싶으면 2명으로 하는걸로 프론트백엔드🦋 협업프로세스프론트백엔드 🐢 시장 조사
더 궁금한게 있으면 질문 작성 해주시고 슬랙 공유주세요. 편하게 작성해주세요 편하게 ! 대신 이름은 셀프입니다 ^~^
우리는 이렇습니다.
🐧 주 활동 시간
저는 올빼미에요 새벽 5시에 자서 12시에 일어나여
프론트
- Thompson: 적당히 새벽파입니다. 새벽 3-4시쯤 자고 아침 10-11시쯤 일어나요!
- Papa
- 저도 적당히 새벽파! 새벽 2~3시가 커트라인 평균 9시 피곤하면 10시 좀 넘어요 😆
- Claire : 보통 2~3시까지는 합니다!! 9-10시에 일어납니다!
- Lawrence: 보통 2시~3시 사이에 자서 10시쯤 일어납니다!
백엔드
- Crong : 저는 평소 새벽 2~3시 종종 4~5시까지 할때도 있어요 ! 일어나는 시간은 7~8시 사이에 일어나요 🙂 좀 늦게 자는 날에는 10시 즈음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
- hyeb : limit 2시 .. 일어나는 시간은 노력하면 오후 1시까지도 가능해요 ~ [물결 모지]
- NULL : 11시30분에 일어나 4-5시까지 밥먹는 시간 빼고 모두 컴퓨터 앞에 앉아있습니다.. 근데 조금씩 아침형으로 땡길 예정 [밥만 먹고 코딩만]
- Elizabeth : 평소 새벽 2-3 시에 자고있어요 . 보통 10시 - 11시에 일어납니다.
- Mark : 최대 새벽 2시 이고… 일어나는건 7시 이지만 활동은 9시 부터..?
🍉 공부스타일은 어떠신가용 ?
저는 혼자가 좋아요. 혼자있을 때 공부가 잘 됩니다~
프론트
- Thompson: 저는 기본적으로 같이 공부하는 걸 좋아하는 편이에요. 마이크 켜두고 같이 공부하는 거 좋아합니다. 아마 그런 분들은 거의 없을 것 같네요… 👍
- Papa
- 혼자 할 땐 혼자 쭉 하는 거 좋아하고 같이 공부하자고 했을 땐 이야기하면서 하는 것도 좋아합니다
- 혼자 할 때와 같이 할 때를 구분하는게 좋아요 😄
- Claire : 계속 말하면서 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혼자 공부해도 같이 모여서 하는 걸 좋아합니다!!!공부하는 다른 분들을 보면 더 힘이 나는 것 같아요!!👍
- Lawrence: 저는 기본적으로 혼자 공부하고 막힐 때는 물어보면서 공부하는 스타일입니다. 그렇게 신경쓰는 느낌은 아닌 것 같아요~!
백엔드
- Crong : 저는 같이 공부하는걸 좋아해요 🙂 계속 이야기 나누면서 공부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같이 모여서 공부하다가 궁금하거나 내가 막힌 부분이 있을때 물어볼 수 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혼자보단 같이 하는것을 더 선호해요
- hyeb : 저는 굳이 고르라고 하면 혼자하는게 잘 되는 것 같아요 새벽 게더에서는 공부가 1도 안 되더라구여 😅
- NULL: 혼자 공부하고 필요시에는 모여 같이 고민하는걸 선호합니다
- Elizabeth : sudo NULL contents cmd+v
- Mark : 혼자 공부하는게 집중이 더 잘되는 편입니다.
MBTI
프론트
- Thompson: INFP입니다! 이게 좀 저랑 비슷한 것 같네요!

- Papa - ISTJ
- 확실한거 좋아해요
- 계획적으로 하는 것을 좋아해요
- Claire - ESFJ 입니다!!

- Lawrence: INFJ

백엔드
- Crong : ISTJ 입니다. MBTI를 엄청나게 믿는 것은 아니지만 비슷한 부분을 가져온다면 계획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방향이 중간에 틀어지거나 그러면 제가 멀티도 잘 안되고 이해하는 속도나 정리하는 속도가 조금 느린 편이라서 그런 일이 중간에 일어나면 약간 벙찌는 경우가 있어용 ㅎㅎ…

- hyeb : ISFJ 저 좀 착한가 봅니다~ [lie]거절은 연습 많이해서 이제 좀 해요 돈쓰면서 뽕뽑기 보다는 효율적이지 않은걸 좋아하지 않아여~ 전 제얘기도 잘해여 ~

- NULL : ISTJ
- {null}
- Elizebeth : (before)ENTP → (recently)ENTJ
[대담하지도 통솔자도 더더욱 아아닙니당..]

다 잊어야 해욥~! 시리즈

- 재미가 저의 인생의 원동력이에욥
- 논리적인 대화 정말 좋아해욥
- 억압 받는 것을 매우 싫어해욥!
- 주변 환경에 시시각각 변화해욥!
- 이기고 지고는 상관없어욥!
- 지면 배우면 되고 이기면 이끌면 된다고 생각해욥
- 인생은 효율이다라고 생각해욥!
- Mark : INFP? INTP?
오전 공통 스크럼
- 회의해야하는 내용
- 저녁스크럼 진행해야합니다.(오늘 일단 필수고, 앞으로도 필수 … 필수 임 ..)
- 오전 스크럼, 기타 정할 사항 그 페이지 부분 (확실히 정해오기)
- 주말 회의 어떻게 할건지
- 프로젝트 이름은 슬랙 투표 어떤지
- 협업 프로세스
- 오늘은 할것들 리스트업하고 금요일까지 문서채우기
- 에러코드 (생각해오세요)
- 응답, 요청 형식 (생각해오세요)
- 응답 성공 데이터
{ "response": { "id": 7, "username": "pjh612" } }
{ "code": "V0001", "message": "Validation error" }
- 주말끼면 회고 어떻게할건지 ⇒ 생각해오기
- 티켓 만들어야함 ⇒ 저녁 스크럼 끝나고 바로 시작
- 에픽이랑 작업에 대한 그런걸 같이 정해와야겠습니다.
- 오늘 저녁 스크럼에는 시작했으면 합니다. ⇒ 몇시에 할건지 ?
- 자율적으로 했으면 하는데 이부분은 일단 더 생각해보기로
- 5시 30분, 다같이
7/21 백엔드 TODO
- 시장 조사 (완성하는 대로 바로 올려놓겠습니다.)
- 패키지 구조
- 도메인별로할지 레이어 별로할지 그 외의 방식을 할지 고려합니다.
- Exception 방식 고려
- exception 방식을 어떻게 할지 고려해봅니다.
- PR review approve는 몇명이상이 될 때 머지를 해도 괜찮은지?
- 유즈케이스
- 시퀀스다이어그램
- 회원가입, 로그인 … 시큐리티를 포함할 필요가없다.
7/21 프론트 TODO
- 코드 커밋 룰 (feat, chore, style, refactor, docs 기타 등등 어떻게 하실 건지 정하기)
- 개발 일정 어떻게 잡을지
- 와이어프레임 ⇒ FIGMA, 디자인 틀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함 ⇒ 시스템 정도의 수준은 필요 없어 보임
- 분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
- 배포 시작하고 할 것인지 release 후 개발 vs 어느 정도 개발 후 release
- JIRA: 백로그 작성 기준, 스토리 포인트 기준
🏓 주말 회의 어떤가용 ?
한두시간 정도는 괜찮은데 하루종일은 힘들어요~
(근데 시간 얼마 안 남았을땐 해야해여 어쩔수 없음)
주말 스프린트
- 스프린트 기간에 주말을 포함할건지
- 스프린트 마지막날이 주말이랑 겹친다면 ? 회고는 ? 당일날 스프린트 새로 시작할건지?
주말 스크럼
- 얘기 나눠서 오기로
프론트
- Thompson: 급할 땐 주말 회의 하는 거에 동의하지만, 베이스는 주말 회의 없이 가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주말 회의가 없다고 프로젝트 진행을 안하는 건 아니라 아마 게더에 상주하고 있을 것 같기 때문에 게더에서 간단하게 소통해도 될 것 같아요!
- Papa
- 급한 안건이 아니라면 주말 회의는 하지 않는 게 좋아요 👍
- Claire : 주말에 전체 회의는 하지 않고 게더에 상주하고 있으니 상의해야 할 건 게더에서 이야기 나눠도 좋을 것 같아요!!
- Lawrence: 급한 경우면 당연히 해야하는 것이지만 베이스는 저도 없이 갔으면 좋겠습니다!
백엔드
- Crong : 공식적인 주제를 가지고 회의를 진행하는건 평일에 하는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급한 경우에는 당연히 회의를 진행하는 것에 동의해요 하지만 모든 인원이 회의에 참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 주말에도 다들 열심히 진행 해주시겠지만 어느정도 평일보다는 유연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였습니당 ~
- hyeb : 평일 밤에 할거면 주말에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 NULL : 프로젝트 기간동안은 주말은 없다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 Elizabeth : sudo NULL contents cmd + v
- Mark : 가볍게라도 주말에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프로젝트 이름
팀별 공통도 좋고 개별도 좋고 다 좋습니다 ~
프론트
Claire : 이 구역 운동짱, 다덤벼, 우리 동네 리그, …
- 우리 동네 체육관 ⇒ 우동체
- 온동네 운동네
- 스쿼후드 ⇒ squad + neighborhood ⇒ 동네 팀
- 아틀레팀 ⇒ athlete + team ⇒ 운동 팀?
백엔드
hyeb: 스팸(스포츠 팸) → naming sense 오졋다리..
crong: 스동파(스포츠 동네 파이터)
포츠모아
NULL : join us
⇒ 마크님이 슬랙으로 처리
🪐 코어타임 시간 및 스크럼 참여 인원 ⇒ 코어타임 default, 모두참여
시간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기존에 정한 시간으로 가져가도 좋습니다.
공통 스크럼에 대표 두 명만 참여하기로했는데, 멘토님이 다같이 참여하는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 주셨습니다. 이에 대해 의견 주세요 ~
결론 : 공통 스크럼은 모두 참여하고 너무 지체된다 싶으면 2명으로 하는걸로
프론트
- Papa
- 코어 타임은 기존대로 14시부터 19시까지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저는 스크럼 대표 두 명이 참여해서 하다가 다같이 참여해도 문제없을 것 같다는 판단이 서면 그 때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 Thompson
- 저도 코어 타임은 기존에 정한 대로 14:00~19:00 으로 진행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스크럼은 대표 두 명이 참석하고 엘리자베스가 말씀하셨던 것처럼 오프라인에서 커피챗 느낌으로 다같이 얘기하는 시간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 Claire : 코어타임은 2시~7시로 하고 나머지 시간은 본인 스케줄에 맞게 게더에서 공부하면 될 것 같습니다!! 스크럼은 대표 두 명이 참석하고 따로 전체 커피챗 시간을 가지고 소통하면 될 것 같아요~!!😀그리고 개인적으로 궁금하거나 상의가 필요한 내용은 대표 통하지 않고 슬랙이나 게더에서 가볍게 물어보면서 얘기 나눠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Lawrence:
- 코어타임은 기준대로 가져가면 될 것 같습니다.
- 공통 스크럼은 전부 얼굴도 보고 인사도 할 겸 짧게 지금까지 뭐 했고 어떤 것을 오늘 할 것이다 정도면 다같이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백엔드
- Crong
- 코어타임은 데브코스에서 정해준 14:00 ~ 19:00로 진행해 보는게 어떨까 싶어요 이 부분도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코어타임이 너무 짧은 것 같은데요?”라는 생각이 팀원분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가 나온다면 그때그때 저희의 강도를 높여가는게 좋아보입니다 🙂
- 스크럼같은 경우는 간략하게 각 팀원이 간략하게 어떤 업무를 할건지 정도로 간단히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라 처음엔 대표 두명이 일정을 공유하는 걸로 했었는데, 저희가 아무래도 만난지 얼마 안된 부분도 있어서 조금이라도 많이 얼굴을 보는게 좋지 않을까란 생각도 들었어요 🙂 그래서 처음엔 다같이 일정을 한번씩 돌아가면서 간략하게 공유하고 이게 만약에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좀 시간적으로 아까운 것 같다 싶으면 그때 처음에 생각했던 방법대로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이게 그렇게 시간을 많이 잡아먹게 될까?” 생각을 다시 해 봤을때 회의는 아니여서 그정도는 아니겠다 라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에 생각이 바뀐 것 같습니다 ㅎ
- hyeb
- 저도 디폴트로 가져가면 좋을 것 같아요
- 멘토님이 말씀해주신대로 초반에 진행하다가 이거 너무 지체된다 싶으면 그때 변경하는건 어떨까요?
- NULL :
- 시간은 14시 - 19시
- 스크럼은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간단한 업무 보고 형식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 뭐할지, 어제 업무에 있어서 어떤 어려움이있었는지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간단히 전달하는게 목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 같이 참여하고 누락된 부분은 없는지 크로스체킹을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다같이 참여하는게 옳다고 생각되요
- Elizabeth
- 기존 그대로 진행하는 걸루 하면 좋을 것 같아요.
- 프론트, 백엔드 다함께 모이는 커피챗은 주 1회는
required
로 가져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커피챗 시간은 30분 ~ 2시간 사이로 그때그떄 정하면 좋을 것 같구요. 그 시간 만큼은 자유롭게 애기 나누거나 게임하거나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초반에는 게임을 지향해요)
- Mark
- 코어타임은 디폴트 좋습니다.
- 스크럼도 다같이 해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시간이 길어진다면 그때 다시 이야기 해보는게 어떨지 싶네요.
🦋 협업프로세스
예시 참고하세용 꼭 이거 따라해야하는건 아니에요 ~ 자유롭게
- 협업프로세스



프론트
- Claire : 위에 틀을 가져가고 코딩 컨벤션만 각 팀에 맞게 정하면 될 것 같아요~!!
- Lawrence: 저도 동일한 생각입니다! 전부 좋은 규칙들이고 필요로 해 보이네요!
백엔드
Crong
- 회의
- 우리는 회의를 진행하고 회의록에 기록합니다.
- 회의는 평일에 주로 이루어지고 주말은 자율참석으로 진행해요 !
- 회의는 스크럼 마스터가 진행해요 !
- 회의록은 스크럼 마스터가 문서까지 완벽하게 챙길 수 없기 때문에 팀원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줘요!
- 회의 내용은 전날 의견을 미리 정하고 각자 주제에 대해 의견을 준비해옵니다.
- 기획
- 기획은 대표자 2~3명이 진행해요 !
- 기획에서 나온 의견이나 정해진 내용들에 대해 정리하고 팀원들에게 전달해요 !
- 팀원들은 피드백을 주고 의견을 분명하게 말해요 !
- 스프린트
- 스프린트 주기는 4일로 시작해서 주기를 점점 늘려가도록 해요 !
- 스프린트 첫날은 스프린트 회의를 진행해요 🙂
- 스프린트의 목표를 정하고 목표에 맞는 티켓을 스프린트에 포함시키는 작업을 진행해요
- 스프린트끝나면 회고를 통해 무엇이 잘 이루어졌고 무엇이 부족했는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협업하는 과정이 계속 개선될 수 있도록해요
Elizabeth
- 스프린트 주기 빼고는 그대로 가져가면 좋을 것 같아요 :)
- 스프린트 주기는 3일이 좋아보입니다!
- 현재는 빨리 진행사항을 공유하고 서로 챙기지 못한 로스나 부족한 부분을 빠르게 매꿔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Mark : 그대로 가져가고 1회 스프린트 하면서 정해지면 그때 수정해도 될것 같습니다.
🐢 시장 조사
- 프로젝트의 이름 : 한국어명, 영문명
- 비슷한 서비스가 무엇이 있을까?
- 해당 서비스에서 배울 점.
- 우리 프로젝트에서 차별을 둘 점
- 가장 중요한 기능은 무엇일까
- 어떤 사람들이 사용할지, 타겟 추측하기
- 우리의 서비스를 문장으로 표현해보기 (1~5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