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
임에도 부트캠프를 선택한 이유- 내부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 기본기 중요하다고 생각
- ReduxSaga 원리
- ES6 generate 사용
- React Saga/thunk 사용이유
- 프론트엔드 이유
- 코딩하면 바로 결과물이 보인다는 점 (
마음에 들어하지 않음, 구체적인 추가 이유
) - 성능최적화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희열감, 새로운 지식 학습,
- 꾸준히 새로운 학습들 어떻게 하는지?
- 유튜브나 공식문서를 통해서 학습하고 있다.
- 새로운 트렌드를 찾는 방법은?
- 최신기술무엇인지?
- Svelte
→ 유튜브, FE News 구독
- 프로젝트 중 이 부분 자신있다
- 4가지 성능최적화
- 번들사이즈 축소
- 코드스플리팅
- CLS 지표
- 상세질문
- 디바운스 최적화
- 성능최적화 지표
-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표는?
- TS 사용이유
- 실제 프젝에서 얻는 이점
- reflow ,repaint 차이점
- reflow 전체? 부분적?
- 영향을 받는 노드
- 최근에 읽었던 책 (인상깊었던 점)
- OSI 7계층
- 책을 선택하는 기준?
- Webpack 어떤 설정들 했는지
- loader
- css loader, babel, file
- 플러그인
- html 후처리
React, Redux 스택 사용이유
- React 사용이유
- 이론적으로만 공부해보아서 적용을 해보고 싶었다.
- 자유도가 높은 스택
- Redux 사용이유
- Mobx, Recoil
- 상태 라이브러리가 필요한 이유
- 상태를 공유, props drilling 문제 해결
- 이번프로젝트 때 새로 사용해본 기술
- querystring
- chartLibrary
- 개발자로서의 로드맵
- 성능최적화면 백엔드가 더 적합하지 않은가?
- 소프트웨어 개발시 중요한 점
- 시너지를 내는 것
- 개발 할 때 도움이 가장 많이 된 툴이 있다면?
- 포스트맨
- 리덕스 데브툴
- git 그라켄
- 이전인턴에서 힘들었던 점, 많이 깨달았던 점
- 사용방법만 익히려고 했던 점
- 내부원리를 단단하게 하려고 하는 편
- 개발속도 빠른편?
- 그렇다. 스타트업에서 반복적인 기능을 구현하면서 숙련이 되었다.
- 습득 속도, js 배우고 난 뒤 빨라졌다.
- 프로젝트 테스트가 중요한가?
- 테스트는 항상 필요한 일?
- — 님이 생각하는 좋은 개발자는?
- 협업을 잘하는 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