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의 기본패킷 모습패킷 전달 과정TCP/IP의 패킷 구조서브넷은 ‘라우터'와 ‘허브'라는 두 종류의 패킷 중계 장치가 존재TCP/IP 패킷 전달 과정 (라우터, 허브 포함)역할 분담의 이유
패킷의 기본
패킷 모습

- 패킷은 ‘헤더'와 ‘데이터’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 헤더에는 수신처를 나타내는 주소 등의 제어 정보
- 데이터에 의뢰한 데이터가 포함됨
패킷 전달 과정

- 패킷의 송신처가 되는 기기가 패킷을 만듬(헤더에 적절한 제어 정보 & 데이터 넣고)
- 가장 가까운 중계장치에 송신
- 중계 장치는 도착한 패킷 헤더 조사하여 패킷의 목적지를 판단함 (이때 라우팅 테이블 활용)
- 패킷의 수신처와 표를 결합해서 어느 케이블로 보내야 할지를 선택하고 패킷 신호 송신함
- 다음 중계 장치에 도착하고 또 3-4를 반복함. 반복하다 보면 최종 목적지에 도달
TCP/IP의 패킷 구조
아래 헤더가 추가로 붙음
- MAC 헤더 (이더넷용 헤더)
- IP 헤더 (IP용 헤더)
서브넷은 ‘라우터'와 ‘허브'라는 두 종류의 패킷 중계 장치가 존재
- 라우터(IP 규칙 따라 패킷 운반)가 목적지를 확인하여 다음 라우터를 나타냄
- IP가 목적지를 확인하여 다음 IP의 중계 장치를 나타냄
- 허브(이더넷 규칙 따라 패킷 운반)가 서브넷 안에서 패킷을 운반하여 다음 라우터에 도착함
- 서브넷 안에 있는 이더넷이 중계 장치까지 패킷을 운반함
TCP/IP 패킷 전달 과정 (라우터, 허브 포함)

- 송신처에서 패킷의 목적지가 되는 액세스 대상 서버의 IP 주소를 IP 헤더의 수신처에 기록
- IP는 이 수신처가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조사한 후 그 방향에 있는 다음 라우터를 조사 ( 그림의 경우 R1)
- 거기에 패킷이 도착하도록 이더넷에 의뢰 ( 이때 다음 라우터에 할당된 이더넷의 주소(MAC 주소) 조사하고 그것을 MAC 헤더에 기록) — 그림의 (1)
- 이더넷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허브에 도착. 허브에는 패킷의 목적지를 판단하기 위한 표와 같은 것이 있어, 이더넷의 헤더의 수신처 정보와 표를 결합하여 패킷의 목적지를 판단하여 중계해줌 — 그림의 (2)
- 허브가 복수이면 허브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패킷이 진행됨
- 패킷이 다음 라우터(R1)에 도착하면 그 다음에 어느 라우터에 패킷을 중계하면 좋을지를 IP 헤더의 IP를 보고 판단 & 그 다음 라우터의 MAC 주소 조사 & 기존에 MAC 헤더에 있는 값(R1) 버리고 새로운 MAC 헤더(R2)를 만든 후 기록 — 그림의 (3)
- 허브 경유하여 다음라우터가 되는 R2에 패킷 도착 & 반복
역할 분담의 이유
- 이더넷 부분은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무선 LAN, ADSL, FTTH등 IP의 의뢰를 받아 패킷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이더넷 대신 사용할 수 있음
- 이더넷 이외의 것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MAC 헤더가 통신 기술의 사양에 적합한 헤더로 대체됨
- IP와 조합하여 역할을 분담해서 통신 기술을 적재적소에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이더넷과 같은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면 이와 같은 유연성이 꼭 필요하여 역할을 분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