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주제
JWT
전시회 장르, 설명 데이터 수집 기간
장르 구현 방식
회의 내용
JWT
백엔드
- 결론
- 가정
- 이상적인 순위
- local storage에 저장, user 정보도 따로 local storage에 저장
- 저희 서비스의 현재 구조나 유저 정보의 보안도를 생각해봤을 때 가장 적합한듯.
- jwt 쿠키로 내리고 새로고침 시마다 api 호출
- 빈푸 컨디션 난조로 무리, 도메인 스왑도 고려해볼만 하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질 것으로 예상.
- local storage에 저장, user 정보는 따로 안저장, 새로고침 시마다 api 호출
- 이건 보안을 신경쓰는 것도 아니고 신경 안쓰는 것도 아닌 애매한 느낌
- 하지만 이 방법으로 진행해야 한다면 진행 못할 것도 없을 것 같다.
refresh token은 항상 http only 쿠키에 담겨야 한다. -- 빈푸 컨디션 난조로 무리
프론트
- 멘토님과 문제 공유함
- token decoding 사용 → 일반적으로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음
- token 저장 위치
- local, cookie 각각 장단점이 뚜렷
전시회 장르, 설명 데이터 수집 기간
- 토, 자정
- 그 이전이 일부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테스트 가능하도록 할 예정
전시회 장르 구현 방식
- 한 전시회에 여러 장르를 넣는 방식은 현재 남은 기간에 구현하기 어려움
- 처음 기획대로 한 전시회에 한 장르를 넣는 방식으로 진행
- 일단 7개 장르(enum)를 기준으로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