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진행 사항
- 풀스택 개발, react(w. apollo server) vs NextJS 결정하기!
- (단) apollo를 채용공고에서 몇몇회사들이 원하는걸 발견하기도 했고, 이전 회사에서도 썼기 때문에 한번 경험해보고 싶었다.
- (짠) 노마드 강의가 지원 중단,, << 대세가 아니라는 것의 증거일걸까..?
그렇다면 좀 짜침;어쨌거나 나는 취준생인데 회사에서 많이 쓰는 nextjs를 나몰라라 한다면.. 개발 중간중간 찝찝할듯 - (단) 하지만 apollo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react에 초점을 맞춘다면..?
- (짠?) 사실 SSR이 사실 뭔지도 제대로 몰랐다. 그래서 이전 경험으론,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서 react에 집중하는게 좋다고 판단했었음. == nextjs의 그다지 긍정적인 기억이 없었음
- (짠) 아 tailwind 사용 필수도 좀 짱났음.. 나는 styled-component가 좋다고~광광ㅠ >> 이건 쩔수xㅎ
- (짠) 어쨌거나 nextjs를 쓰면 제약된 점도 많았는데.. 이건 내가 개발을 하는 도중에 느끼게 될 것 같아서 좀 아쉽다. ⇒ 그래두.. (tailwind처럼) 돌아가야 하는거지 길이 없는 것은 아닐거라고 굳게 믿으며..ㅠ
- (짠) 안쓰는 react 문법(usestate 등)도 좀 걸리는 이유였다. 왜냐하면 나는 react 지식도 복습을 해야하는디..
- (단) 요즘 대세는 nextjs인건 빼박임. 채용공고만 봐도 nextjs를 너무너무너무 자주 볼 수 있었다. 안하면 손해보는 느낌;
- (짠?) 사실 회사에서 nextjs는 깊이 공부보단.. 기본적인 것만 하면 되는 느낌이긴 했다. 오히려 react를 더 깊게 공부해야하구.
- (단) apollo에 대한 갈증도 nextjs+apollo client 조합이 가능하다고 하니 해결 쌉가능~
- (단) 혼터뷰도 제대로 갈아엎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고생해서 만든건데 포폴에 쓰면 좋자나
- (단) 노마드 강의 넘나 들어보고 싶음. 활발하게 진행되는 강의로 전체적인 지식 흡수해서 공부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음. (물론 디테일한건, 또 경쟁력이 되려면 내가 플러스 알파로 하는게 매우 중요하지만~)
- nextjs 공부 후, 혼터뷰 풀스택으로 다시 만들기 (즉시 포폴용 + nextjs 경험용)
- 새 프로젝트는 react + nestjs로 (react 깊게 공부용 + 여러 스택 경험용)
react(w. apollo server)를 채택..?
여러회사(내카라쿠배 포함) 요구사항을 본 결과, react를 원하는 곳이 더 많았다. 또한 나는 react를 더 깊게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nextjs를 채택..?
⇒ 이건 공부를 안해서, 아는게 없어서 생긴 문제였음. 즉, 장점은 모르고, 단점만 경험했으니 긍정적인 기억이 없는 것이 당연한 지사..
⇒ 이번에 좀 찾아보니 SSR에 대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좋은 놈인건 확실.. 그러니 좀 끌림ㅋ
>> 사실 잊어먹은거지 다 아는거자나ㅋ 좀만 찾아봐도 바로 느낌 알것이다. 또한 nextjs 하면서도 마주칠 날은 있을거라 생각함. 쨌든 모호했던 개념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있을거라고 생각함 but, 깊게 공부가 필요한건 사실. 어쩌면 nextjs보다 더!
결론 : 둘 다 채택ㅋ
같이 병행하기,, 쉽지 않겠지만 가보자고!! 특히 nextjs야 잘해보자 ^.^ㅎㅎ
- 혼터뷰 Reboot : 기존 혼터뷰 코드의 아쉬웠던 점들을 리팩토링해, 새로운 혼터뷰를 만들자!
- 프로젝트 빌드 후 github에 push 했음
- nextJS를 제대로 알고 쓰지 못해서, use-client만 주구장창 썼다.
- 다른 팀원의 코드리뷰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내가 손대지 않은 부분은 어떻게 굴러가는지 모른다.
- aws 지원이 종료되어 현재 배포된 사이트가 없다.
- 비즈니스 로직에 치중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어서, 매끄럽지 않은 부분들이 있다.
- 회사의 요구사항과 우대사항에 필요한 스택들이 다소 부족하다. (추가사항)
기존 혼터뷰의 아쉬웠던 점 & 해결방안
< 해결방안 > nextJS를 제대로 배워서 필요한 부분을 적재적소에 잘 써먹어 보자!
< 해결방안 >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만들어서, 모르는 부분을 없게 한다. (ex. msw, stt, 카메라, 다운로드, 토큰 등)
< 해결방안 > 풀스택으로 개발할 것이기 때문에, 배포까지도 살려볼 수 있을 듯!
< 해결방안 > 기술적인 도전을 먼저할 것! 따라서 기술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본 기능만 제공하도록 수정. (ex. AI가 생성해주는 질문들은 형태가 어색한 부분이 많아서, 질문 리스트에는 등록하지 않는다.)
< 해결방안 > 여러 도전을 덧붙여서 기술적으로 더 풍요로운 앱으로 만들자!(ex. 테스트, CI/CD, 디자인 패턴 적용, 캐싱 전략, 랜더링 최적화 전략 등등)
- 앞으로 2주간 계획 (11/18~11/30)
- nextjs 강의(4시간), 당근마켓 클론코딩(22시간) ⇒ 매일 2시간씩. 월~토!
- 모르는 것, 설명이 부족한 것, 생각나는 다른 개념들 모조리 찾으면서 듣기
- 강의 듣고 > 따라 해보면서 정리
== 노마드 강의 듣는 시간
- 추후 예상 일정 (변동 가능성 oooo)
- 혼터뷰 Reboot : 12/1~12/31 (1달)
- NestJS, Apollo, GraphQL 강의 듣기 : 1/1~1/3 (3일)
- NestJS 풀스택 강의 듣기 : 1/6~1/31 (4주)
- 올라올라 : [1/6~1/31] 강의와 병행 + [2/3~4/30] only 프로젝트 (총 4달)
📌 New 지식
- 컴파일 vs 빌드
- 빌드 안에 컴파일이 속해있다.
- 컴파일은 코드를 바이너리로 변환하는 것
- 빌드는 완전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
- fyi : 컴파일러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
📌 문제 및 해결 사항
-
📌 모호하게 알고 넘어가는 것이 없나요? (Y/N)
y
📌 오늘 결정한 것들에 대해, 근거가 확실한가요? (Y/N)
y
📝 내일 희망 TODO
노마드코더 nextJS 완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