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방법 2가지
1. 자동 설치
자동 설치는 사전 설치 항목들이 많을 것임(typescript, tailwind 등..) : 
선택하면 됨 
자동으로 설치됨
npx create-next-app@latest


2. 수동 설치
모두 내가 설치해야 함. 여기서는 디테일하게 짚고 넘어갈 수 있는 수동 설치를 택해본다!
설치 방법
- 설치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
npm init -y
⇒package.json
생성- license 부분을 MIT로 변경
- 라이브러리 설치
react@latest
next@latest
react-dom@latest
⇒ 리액트를 브라우저 dom에 렌더- /app/page.tsx 를 생성 후 리액트 컴포넌트 작성(
export default
되어야 함, 컴포넌트 이름은 자유롭게)
- 명령어 설정
- package.json의 script에
dev
:next dev
- 프레임워크(NextJS)가 코드를 호출한 것! 즉, 우리가 page 파일을 찾으라 명시하지 않아도 nextJS가 알아서 찾은 것임
⇒ nextJS가 코드를 찾아서 실행. 즉,
app
안에 있는 page
파일을 알아서 찾음- 명령어 실행 (
npm run dev
) - react를 import하지 않아도 빌드 쌉가능. (nextJS가 알아서 제공!)
- ts등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자동으로 설치
- layout.tsx가 app안에 자동으로 생성됨
- 새로고침 하면 알아서 리렌더링 된다



여기서 nextjs 덕분에 우리가 하지 않아도 되는 일 ⇒ framwork의 차별성~
- app/page를 렌더하라고 명령
- react를 import
- tsx 실행을 위해 ts를 설치
- app안에 layout.tsx를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