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커뮤니티 서비스 Pet Talk 🐣
1. 서비스 개요 및 필요성

반려동물 시장 규모
국내에서는 2300여 만의 가구 중 약 638만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며, 반려동물 인구는 2021년 1,5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인 4명 가운데 1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입니다.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매년 평균 14.5%씩 성장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2015년 1조 9000억 원 규모에서 올해 4조 5786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가오는 2027년에는 6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공간에서 커뮤니티를 통하여 정보를 얻는 사용자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이렇듯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커뮤니티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 또한 확대되고 있습니다.
“펫톡(Pet Talk)”은 반려동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사용자로 하여금 반려동물과의 일상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에 의의를 둡니다.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의 반려동물 컨텐츠의 성장을 계기로 반려동물 커뮤니티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습니다. 다른 반려동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부수적인 기능(커머스, 이벤트 등)들을 배제하고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크 형성에 집중하여 커뮤니티 서비스로서의 차별성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펫톡(Pet Talk)”의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2. 서비스 시장 조사
2.1. 시중의 반려동물 서비스 앱에 대한 조사
ex 1) 포동(구 퍼피유)
정보 | 반려견을 타겟으로 한 커뮤니티 서비스 |
특징 | 커뮤니티, 반려견의 성향 분석, 훈련 정보, 이벤트, 마켓 기능이 존재합니다. |
장점 | 커뮤니티 외에 애견 미용실, 병원, 애견 카페, 유치원 등 강아지를 위한 공간의 정보나 퍼피 매칭 서비스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광고성 글이 적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점 | 견주들에게만 유용한 서비스가 많아, 강아지 외에 다른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을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ex 2) 디어테일
정보 | 강아지 맞춤 쇼핑 앱 |
특징 | 시중의 의류 쇼핑 앱을 강아지 쇼핑 앱으로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특징입니다. |
장점 | 50만 견종 데이터를 분석하여 견주가 반려견 용품 쇼핑 시 맞춤 추천해주어 유용합니다. |
단점 | 강아지에 한해서 쇼핑 가능합니다. |

ex 3) 피피
정보 | 강아지 맞춤 우리 동네 펫 커뮤니티 |
특징 | 당근과 비슷하게 초기 로그인 시 동네를 설정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유기견에 대한 정보가 많습니다. |
장점 | 자주 보고 싶은 동물 친구를 팬으로 등록하여 사진 및 영상을 골라 볼 수 있으며, 지도 기능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견주들에게 국한된 서비스, 동네를 등록한 후 서비스를 이용가능 하기 때문에 사는 동네에 따라 커뮤니티 규모가 다를 수 있습니다. |

ex 4) 모두의 펫
정보 | 강아지 맞춤 위치 기반 펫 커뮤니티 |
특징 | 인스타그램 형식으로 반려견의 사진을 자랑할 수 있으며 견주들과 번개모임을 열 수 있습니다. |
장점 | 15초 내의 동영상 업로드가 가능하여 보다 생생한 일상 공유가 가능합니다. |
단점 | 게시글 작성 시 튕겨서 글이 모두 초기화 되는 버그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이탈에 한 몫) |

2.2. 기존 서비스와의 비교 및 우리 서비스의 차별점
- 기존 서비스의 문제점
- 시중에 존재하는 반려동물 서비스를 조사해 보았을 때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강아지에 치중되어 있어, 견주들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대부분이었습니다.
- 많은 서비스가 커머스, 이벤트 등의 다양한 기능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커뮤니티 만을 이용하고 싶은 사용자들은 혼재 되어 있는 기능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광고성 글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 ‘펫톡(Pet Talk)’의 차별점
- 펫톡은 반려동물과의 일상을 쉽게 공유할 수 있고, 관련한 정보도 얻을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집중하여 사용자 간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특정 반려동물에 치중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특정 동네에 국한되지 않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유저들의 자유로운 네트워킹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팔로우/팔로워 및 채팅 기능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3. 서비스 핵심 기능 소개
직관적이고 쉽게, 내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회원가입/로그인


유저의
email
, username
을 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유저의 이메일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유저 정보의 인증/인가에 사용되는 암호화는 JWT를 이용합니다.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마친 유저는 인가를 진행할 수 있는 JWT 토큰을 발급받으며, 이를 통하여 로그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프로필 페이지를 통한 내 정보 확인하기
-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내 관심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사진으로 반려동물과의 일상을 생생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마이페이지를 통하여 로그아웃 할 수 있습니다. 내가 팔로우하고 있는 유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팔로워/팔로잉 버튼을 누르면 친구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차별화 된 커뮤니티의 자율성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에 맞는 채널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추천 채널
이라는 기능을 통하여 원하는 관심사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마음에 드는 채널이 없으신가요? 채널 생성 요청
채널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채널 생성을 요청해 주시면 됩니다. 그럼 관리자가 확인 후 바로 채널을 생성해 드릴 예정입니다. 
게시글 목록은 사진을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도록 카드뉴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신이 업로드하는 사진을 다른 유저들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반려동물과의 일상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시글 정렬은 좋아요 수가 많은 순서대로 배치되어, 해당 채널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게시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좋아요, 댓글 기능을 통하여 나의 취향을 공유합니다.

마음에 드는 게시글을 발견한다면 ‘좋아요’ 버튼을 누름으로써 유저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게시글에 대한 댓글을 남김으로써 유저의 생각과 감정을 효율적으로 교류할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글을 쓰는 유저를 발견할 경우, 팔로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정보만 얻고 싶을 땐 아래 기능을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특정 사용자의 글만 모아 보고 싶을 때, 원하는 주제로 게시글을 확인하고 싶을 때, 게시글 목록 상단에 존재하는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저들과 네트워킹하기! 펫톡만 있어도 가능합니다.
- 유저들과 채팅을 통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친구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다른 유저에게 채팅 메시지를 받을 경우, 알람을 수신하여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특정 유저의 소식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팔로워, 팔로잉이 가능하며 특정 유저의 소식을 빠르게 얻고 싶다면 팔로우 신청을 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팔로잉 중에는 메시지도 보낼 수 있습니다. 특정 사용자를 찾고 싶다면 검색 기능을 통하여 찾고 싶은 유저의
username
을 검색합니다. 또한, 활동 중인 유저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어 바로 채팅을 하고 싶다면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다양한 기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펫톡의 UI
- 주요 정보를 집약한 AppBar
- 메인페이지 AppBar
- 로고 : 로고 버튼을 누르면 채널 탐색 페이지(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다크모드 토글 버튼 : 토글 버튼을 통하여 다크모드 / 라이트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알람 버튼 : 채팅 요청, 댓글알람, 좋아요 등 펫톡에서 일어나는 소식을 알람 버튼을 통하여 접할 수 있습니다.
- 프로필 : 나의 프로필 버튼을 클릭하여 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이동 시의 AppBar

특정 페이지로 이동한 경우, 전에 방문했던 페이지로 되돌아갈 수 있는 뒤로가기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또한, 현재 유저가 방문한 페이지가 어떤 페이지인지 확인할 수 있는 AppBar 타이틀이 존재합니다.
- 서비스의 사용 편의성을 더해주는 Navigation Bar

채팅목록
/ 채널탐색
/ 팔로우 목록 확인하기
와 같이 페이지 이동이 필요한 부분을 Navigation Bar를 통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Navigation Bar는 화면 하단에 고정되어 있어 원하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저를 도와줍니다. 4. 기술 스택
5. 개발 일정 및 역할 분담
5.1 일정 개요
5.2 개발 마일스톤
- 공통 UI 컴포넌트 개발 목록
컴포넌트 이름 | 설명 | 담당자 |
Button컴포넌트 | 공통으로 사용되는 Button 컴포넌트입니다. (로그인, 로그아웃 및 작성완료 버튼 등에 사용될 예정) | 주다현 |
Input 컴포넌트 | 유저가 string이나 number형식으로 된 값을 직접 채워 넣을 수 있는 form 컴포넌트입니다. | 주다현 |
AppBar 컴포넌트 |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로고, 알람, 마이프로필, 다크모드 토글버튼을 담고 있는 컴포넌트입니다. | 이정욱 |
NavigationBar 컴포넌트 |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네비게이션 컴포넌트입니다. 채널 탐색 페이지, 친구목록 페이지, 채팅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주다현 |
Card 컴포넌트 | 게시글 목록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사진과 간단한 게시글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김유진 |
ListRow 컴포넌트 | 유저의 프로필 사진과 이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컴포넌트입니다. 오른쪽에 rightElement를 ReactNode 형식으로 자유롭게 넣을 수 있습니다. | 김유진 |
Loading 컴포넌트 | 로딩화면 컴포넌트를 미리 분리합니다. | 이정욱 |
ProfileImage 컴포넌트 | 유저의 프로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컴포넌트입니다. (small, Large 사이즈) | 이정욱 |
ChattingBubble 컴포넌트 | 채팅창에 입력하였을 때 나타나는 말풍선 컴포넌트 | 김정호 |
Svg 컴포넌트 | 공통으로 사용될 svg 아이콘 컴포넌트 입니다. (버튼 등으로 사용) | 김정호 |
Toggle 컴포넌트 | 다크모드 용 토글 버튼입니다. | 이정욱 |
CubeButton 컴포넌트 | 메인화면에 나타나는 채널명을 담을 수 있는 컴포넌트입니다. | 김정호 |
Text 컴포넌트 | 공통으로 사용될 Text 컴포넌트입니다. typo, color, weight 등을 props로 넘겨줄 수 있습니다. | 주다현 |
Spacing 컴포넌트 | 컴포넌트 간의 공간을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컴포넌트로, size 값을 통하여 여백 값을 받습니다. | 김유진 |
FlexBox 컴포넌트 | flex 속성을 가진 div 컴포넌트입니다. flex-direction, align-items와 같은 속성을 props로 받을 수 있습니다. | 김정호 |
Padding 컴포넌트 | padding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컴포넌트입니다. | 김유진 |
5.3 일정별 역할 분담
디자인 기간 | 중간점검 | 1차 개발 스프린트 | 2차 개발 스프린트 | 배포 및 QA 기간 | 최종 발표 | |
정호 | UI 프로토타입 제작 | 영상 녹화 | 채널(메인 페이지) | 채팅 페이지 | 다같이 진행 | 스크립트 작성 |
정욱 | 디자인 시스템 제작 | 스크립트 작성 | 글 디테일 뷰(삭제, 수정) | 마이페이지 + 내 정보 수정하기 | 다같이 진행 | ppt 제작 |
다현 | UI 프로토타입 제작 | 영상 편집 | 로그인/인증인가 | 알람 기능 처리 + 채팅 목록 | 다같이 진행 | 발표 |
유진 | UI 프로토타입 제작 | PPT 제작 | 글 목록 + 글 작성하기~~ | 친구 목록 페이지 | 다같이 진행 | PPT 제작 |
5.4 개별 역할 분담
정호
팀장
- 메인 페이지 채널 View
- 채팅 페이지
- 중간 점검 영상 녹화
- QA 및 배포
- 발표 스크립트
정욱
팀원
- 게시글 디테일 뷰
- 마이페이지 + 내 정보 수정
- 중간 점검 영상 스크립트
- QA 및 배포
- 발표 PPT 제작
다현
팀원
- 로그인 / 인증인가
- 채팅 목록 + 알림 기능
- 중간 점검 영상 편집
- QA 및 배포
- 발표
유진
팀원
- 게시글 목록
- 친구 목록
- 중간 점검 영상 PPT
- QA 및 배포
- 발표 PPT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