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rror를 처리하는데 있어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신경쓰기 위해 별도의 함수로 빼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해 어떻게 API 함수를 관리하면 좋은지 궁금합니다
movie.ts 파일 참조
코드도 글과 같다. 대주제, 소주제. 추상화가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중간중간에 코드를 넣어야 될 때 어렵지 않게 넣을 수 있다.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드는게 좋다. 적절한 역할과 적절한 위임이 중요하다. 글쓰는 것과 같다.
-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을 ‘리액트’라 할 수 있는데,
리액트에 버금갈만한 차세대 라이브러리(프론트에서 중요한 주요 기술스택)는 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혹은, 앞으로 프론트 개발자에게 있어서 어떤 특징의 기술들이 중요해질지 멘토님의 개인적인 생각이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기술 스택 혹은 쥬니어 입장에서 좋은 기술을 어떻게 찾아나가면 좋을 지 궁금합니다.)
DB, 이미지를 동적으로 만드는 것. Edge computing. 서버 컴퓨팅.
프론트는 단순히 렌더링만이 아니라, 웹에서 필요한.
경계가 모호해졌다. product engineer vs platform engineer
지금은 리액트를 꾸준히 공부한다.
5년 뒤에는 리액트만 할줄아는사람 vs 프론트엔드 아키텍쳐 많이 차이 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