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1. 목요일 스크럼 때 백엔드 끼리 채택된 주제를 제출합니다.
2. 금요일까지 모든 내용을 채웁니다.
규칙 만들기 순서(절차)
- 필요한 규칙 주제를 나열합니다.
- ex ) 트러블슈팅, MBTI, 협업 규칙, 라이프 스타일, 로드맵, 장애가 났을땐?, 배포 로그, 슬랙 규칙
- 규칙 주제를 채택 합니다.
- 규칙 주제의 내용을 페이지로 만듭니다.
- 규칙 주제 페이지의 내용을 작성합니다.
크롱
협업프로세스
- 회의
- 우리는 회의를 진행하고 회의록에 기록합니다.
- 회의는 평일에 주로 이루어지고 주말은 자율참석으로 진행해요 !
- 회의는 스크럼 마스터가 진행해요 !
- 회의록은 스크럼 마스터가 문서까지 완벽하게 챙길 수 없기 때문에 팀원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줘요!
- 회의 내용은 전날 의견을 미리 정하고 각자 주제에 대해 의견을 준비해옵니다.
- 기획
- 기획은 대표자 2~3명이 진행해요 !
- 기획에서 나온 의견이나 정해진 내용들에 대해 정리하고 팀원들에게 전달해요 !
- 팀원들은 피드백을 주고 의견을 분명하게 말해요 !
- 스프린트
- 스프린트 주기는 4일로 시작해서 주기를 점점 늘려가도록 해요 !
- 스프린트 첫날은 스프린트 회의를 진행해요 🙂
- 스프린트의 목표를 정하고 목표에 맞는 티켓을 스프린트에 포함시키는 작업을 진행해요
- 스프린트끝나면 회고를 통해 무엇이 잘 이루어졌고 무엇이 부족했는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협업하는 과정이 계속 개선될 수 있도록해요
널
- 주 활동시간
- request, response endpoint는 화면보고 확실하게 설계
- 유스케이스
협업프로세스
널
스프린트
- 스프린트 4일 최대 7일 주기로
- 스프린트 시작 첫날은 스프린트 회의를 진행합니다.
- 이번 스프린트 기간동안 목표를 확립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들을 해야하는지 회의를 하고 스프린트에 티켓을 포함시킵니다.
- 스프린트 기간 동안 매일 스크럼을 진행합니다
- 팀 별로 13시에 스크럼을 진행하고 13시 30분에 통합 스크럼을 진행합니다.
- 팀 별 스크럼이 지연이 된다면 지연 사유를 전달합니다.
- 지연은 최대 15분 허용합니다.
- 통합 스크럼은 모두가 참여합니다. 각 팀의 스크럼 마스터가 각 팀원들의 진행상황을 발표합니다.
- 스프린트 마지막 날에는 회고를 진행합니다
- 스프린트의 목표대로 잘 흘러갔는지
- 스프린트 진행 중에 어려움은 없었는지
- 잘 안됐다면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 앞으로의 일정에는 문제가 없을지 얘기하고
- 다음 스프린트에는 무엇이 필요할지 대략적으로 산정합니다(디테일한 것은 스프린트 회의 때 진행)
기획
- 기획 회의는 각 팀의 대표자 2명 또는 3명이 참여합니다.
- 각 팀에서 나온 의사 결정사항을 서로에게 전달하고 확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 대표자는 기획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을 각 팀의 팀원들에게 전달하고 피드백 받습니다.
구현 요청
-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우선 티켓을 만들고 필요한 요구사항을 상세하게 기입합니다.
- 프론트는 API가 필요한 화면을 와이어 프레이밍하고 Request, Response, Endpoint, DeadLine(언제 까지 만들어져야할지)를 제시합니다.
- 댓글로 멘션을 달고 추가적으로 Slack, DM 등을 이용해 상대에게 알려줍니다.
- 요청을 받은 측은 담당자를 정하고 스토리포인트를 기입합니다.
- 필요하다면 자세한 내용에 대한 회의를 진행합니다.
- ex) Request, Response, Endpoint에 대한 협의, 정말 필요한 요구 사항인지, 기한안에 만들 수 있을지 등
- 제한시간을 두고 요청 사항 수행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면 잘 정리해 상대방에게 전달합니다.
배포 주기
- 매일
- 개발 사항이 없다면 배포하지 않습니다.
- 배포를 하기전 상호간의 공지를 합니다
- 저희 오늘 배포할건데 ~한 사항들이 추가 또는 수정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