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경
[commit] 태그 대소문자: commit내용
- 나현
- 깃모지보다 텍스트
- modify 없어도 되지 않을까
- 종운
- 연경님 형식 좋다!
- 태그 간 모호함
- fix vs refactor vs modify
- 미리 정하고 가면 좋을 듯
- 의미를 걷어내서 add, modify 로 축약
- 태그를 잘 정리하고 시작하자
- 지희
Chore: 빌드 테스크 업데이트, 패키지 매니저를 설정하는 경우(프로덕션 코드 변경 X). Docs: 리드미(문서) 추가/수정시에 사용됩니다. Comment: 주석 추가/수정 시에 사용됩니다.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시에 사용됩니다. Rename: 파일명/폴더명 또는 파일/폴더의 경로가 변경됐을 시에 사용됩니다. Fix: 버그를 고친 경우 Refactor: 프로덕션 코드 리팩토링, 새로운 기능이나 버그 수정 없이 현재 구현을 개선한 경우 Remove: 파일이나 코드를 삭제했을 때 사용됩니다. Design: UI, style을 추가/변경했을 때 사용됩니다. Style: 코드 포맷 변경, 세미 콜론 누락, 코드 수정이 없는 경우 사용됩니다. ex) 오타 수정, 탭 사이즈 변경, 변수명 변경 `Feat: "Add signin, signup"` ### 기능 - Feat, Fix, Design, !BREAKING CHANGE ### 개선 - Style, Refactor, Comment
init: 프로젝트 세팅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docs: 문서 수정
style: css ui만 변경?
fix: 버그 수정 (코드 수정 O)
refactor: [파일명 폴더명 이동 등 변경], 버그 수정 외의 코드 수정
test: 테스트 관련 코드 추가
chore: 라이브러리 설치, 설정 변경
comment: 주석
기타
- 형식
- commit 태그: commit내용
- commit 태그
Init: 프로젝트 세팅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Docs: 문서 수정, Storybook stories 생성
Style: css ui만 변경?
Fix: 버그 수정 (코드 수정 O)
Refactor: [파일명 폴더명 이동 등 변경], 버그 수정 외의 코드 수정
Test: 테스트 관련 코드 추가
Chore: 라이브러리 설치, 설정 변경
Comment: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