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 About
기본을 중시하고 공부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서인수입니다.
- 탄탄한 기본기가 빠른 성장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코어자바스크립트, You Don’t Know JS 등의 책을 읽고 스터디를 운영하며, javascript란 무엇인지, 실행컨텍스트와 클로저와 같은 핵심 개념들의 동작 원리는 어떠한지 등을 깊이 있게 공부하였습니다.
- 훌륭한 개발자로서 제1의 가치를 ‘가독성’으로 생각하고, CleanCode, 실용주의 프로그래머와 같은 책을 읽으며 좋은 코드의 기준을 생각해보고 프로젝트 리팩토링에 이를 적용해보았습니다.
효율적인 소통, 생산적인 업무환경을 위해 노력합니다.
- 교육학을 전공하고, 많은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효율적인 소통을 위한 방법을 고민하였습니다.
- ‘목적을 명확히 하는 소통’과 ‘솔직함이 전제된 소통’ 등의 규칙을 정하고, 팀 단위 프로젝트에서 적용해보았습니다.
- 노션과 슬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개발 외적인 소통 비용을 줄이는 데 앞장섰습니다.
주인의식을 가지고 끊임없이 개선해나가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 창업동아리에서 ‘대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킹’에 대한 고민으로 서비스를 기획하여 15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 총 4번의 시즌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듣고, 분석하고, 개발하여 개선 시키는 과정에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재미를 느꼈습니다.
- 내가 맡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서비스 자체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일하고 싶습니다. 나의 성장과 팀의 성장, 회사의 성장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필요한 것을 스스로 찾아 일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 Stacks
[ 사용 가능한 스택 ] React Javascript, Typescript, HTML, CSS
[ 경험한 스택 ] Recoil, Cypress, Express
[ Etc ] Git, Notion, Slack, Zenhub
💻 Projects
RG (알지)
2022.07 - 2022.08(3주)
CheQuiz (체퀴즈)
2022.07 - 리팩토링 중 (2주+)
다차원 시각화 리포트 과제
2021.08 - 2021.10 (8주)

- 👉🏻 쉽고 빠른 자전거 모임 매칭 서비스
- 데브코스 2기 최종 프로젝트 (프론트3, 백엔드5)
- React | Typescript | Recoil | Storybook
- 담당 기능
- 인증 및 인가, 유저 관련 페이지 담당
- KaKao OAuth 로그인 구현
- CustomRoute를 통한 로그인 유지 및 인가 처리
- AxiosInterceptor를 활용하여 토큰 refresh 진행
- 유저 정보 수정 및 유저 평가 기능 구현
- 👉🏻 퀴즈를 통한 개발 지식 측정 서비스
- 데브코스 2기 중간 프로젝트 (프론트 4)
- React | Typescript | ContextAPI | Strapi
- 담당 기능
- 메인 페이지 및 퀴즈 생성페이지 구현
- 제어컴포넌트 방식으로 퀴즈 Form 구현
- CustomHook을 통한 퀴즈 Form Validation
- Strapi를 통한 백엔드 서버 교체 리팩토링 진행
- 👉🏻 광고 지표 분석을 위한 시각화 페이지
- Naver 인턴 과제 (1인)
- React | Recoil | Cypress
- 담당 기능
- 요구사항 분석 및 기술조사를 바탕으로 기획문서 작성
- 성과지표 / 날짜에 따른 변경을 반영하는 Overview / Widget 차트 개발
- 클린코드 적용 리팩토링 시도
- Cypress를 이용한 시나리오 테스트
Education
-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하는 Javascript 중심 교육 과정
- 코어타임 내 자기주도적인 학습 시간 설계
- ‘말하면서 배워요’ 학습 동아리 운영
- Vanilla JS 과제 중심의 실전 학습
- 백엔드 팀과 협업 프로젝트 진행
- Advanced software engineering, Immersive program
- Javascript 기반으로 풀스택 과정 학습
- 프론트엔드 React 중심, 백엔드는 Node.js 중심 학습
- 20주 동안 매일 알고리즘 문제 풀이 및 강도 높은 과제 수행
- 페어 프로그래밍과 코드 리뷰 경험
- 협업 프로젝트 2회 진행
- 교육학 전공 / 산업공학과 복수전공
- 컴퓨터활용기초, 컴퓨터응용통계, 데이터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응용 등 관련 과목 수강
Studies & Activity
말하면서 배워요 스터디 운영
2022.04 -
Naver 인턴
2021.08 - 2021.10
홍익 비즈 해커톤 1등 수상
2020.01
프라이머 배치 16기 킥오프 선정
2019. 10
LG CNS 코딩지니어스 6기 멘토
2019. 9 - 2019. 12
- 데브코스 중 배운 내용을 묻고 답하고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스터디
- 스터디 리더로서 모든 활동 기록 및 주기적 KPT 회고 진행
- 👉🏻 스터디 기록
- Naver Biz CiC 부서 인턴
- 다차원 시각화 리포트 페이지 개발 과제 진행
- '홍개팅: 같은 대학 소개팅 서비스'
- 창업계획서 발표
- '홍개팅: 같은 대학 소개팅 서비스'
- 최종 61팀에 선발되어 아이디어 피칭
- 서울 소재 중학교 코딩교육 멘토링 활동
- EV3 로봇 실습, JAVA프로그래밍, 빅데이터의 이해 수업 참여
동료 피드백
From. 성기동 멘토님
알고리즘이나, 개발 과제등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며 기대되는 팀원입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개발에 대한 열정도 가득하다는 것을 스터디 개최, 커피챗 시간 등을 통해서 느낄 수 있어서 KDT 과정이 끝나고 가장 기대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만 하신다면 어디서든 훌륭한 개발자가 되실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수님을 페어로 뵙고 페어 프로그래밍의 선한 영향력과 순기능을 느꼈습니다.
-큰 그림에 대한 이해 후 바로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하나 하나씩 수도 코드를 작성하며 보다 디테일하게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은 새로운 혜안을 주셨습니다.
From. 코드스테이츠 26기 페어
- 같이 하는 페어가 잘 이해하지 못하고 버벅이면 답답하기 마련인데, 전혀 그런 내색없이 침착하게 바른길로 갈수 있게 인도해주셨습니다.
- 나무를 보기전에 숲을 볼줄 아는 넓은 시야와, 어떤점을 파악해야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지 알아보는 좋은 눈을 가졌습니다.
- 어려운 문제건 쉬운 문제건 페어와 '함께' 풀기위해 노력했습니다.
From. 코드스테이츠 26기 페어
- 이사람이 우리팀에 왔을 떄 스스로 할 수 있는 사람인가
- 이력서에 있는 내역이 메타인지가 되어있나
- 기초역량
- 한 템포 쉬고, 조리 있게 말하면 좋을 듯
- 장황하다. ⇒ 많은 집중을 필요하다. ⇒ 놓치게 되면,
- 반템포 쉬고, 되 묻거나, 조리있게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
- 주도적인, 합리적인 추론이 가능할까?
- 서버레이어
- 학습루틴, 학업선택방식, 차트레이어
- 중간 레이어 , 각 선택마다의 이유가 있는데, 그런 부분을 고려해서 설명하지 못했던 것 같다.
- 혼자했을 때, 과연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 기초역량
- 타이머 관련 문제
- 유저입장에서 이런 부분이 있을 때,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까 (당근은 메이커성향을 원한다.)
- 진짜 본질이 무엇일까
- 이력서와 면접상황에서 어떤 이질감이 느껴지는지
- 없다.
- 어떤 사람일까 라는 궁금함보다는, 그랬구나
- 필요한 내용일까?
- 내용이 많아서, 매력을 희석시키는 것은 아닐까?
- 태스크의 나열 방식
- 이런 태스크로서의 결과
- 수치라던가
- 왜 했고, 어떤 결과가 있었는지
- 생각하는 범위가 조금 적다고 생각
- 저는 한국어를 잘합니다!.
- 이력서는 최대라고 생각을 하게 되는데,…
- 학원 프로젝트는 조금 눈이 덜가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