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 동일한 자료형(Data Type)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
-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의 선언을 줄여주며, 반복문 등을 이용하여 계산과 같은 과정을 쉽게 처리함.
배열은 자료형이 아니라 자료구조임.

예시) char형이 8개 들어갈 수 있는 배열 선언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str = { 's', 'o', 'f', 't', 'w', 'a', 'r', 'e' }; System.out.println(str); // software } }
반복문
while
int i=0 //도와주는 변수 선언 while(i<10){ //괄호 안에 조건 넣어주기 i++ //도와주는 변수 업데이트 }
예시) while문 무한 루프
while(true){ //무한루프 }
for

- for : 반복문의 시작을 알림.
- (시작; 조건; 규칙) 순으로 작성.
- int index = 0; : 조건으로 사용 할 변수.
- index < integers.length; : 논리식. true면 중괄호 내부를 실행. false면 반복문 종료.
- index++ : index에 1을 더함.
- {} 중괄호 : 반복문의 논리식이 true일 때 실행할 로직을 담고있음.
예시) 각 문자를 반환하는 반복문 선언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str = { 's', 'o', 'f', 't', 'w', 'a', 'r', 'e' }; for (int i = 0; i < str.length; i++) { System.out.println(str[i]); // s, o, f, t, w, a, r, e } } }
while문과 for문의 차이점
- for문 : for문이 끝나면 도와주는 변수가 사라짐.
- while문 : while문 위에 도와주는 변수를 선언하기 때문에, while문이 끝나도 도와주는 변수가 사라지지 않음.
예외)
int i=0; for(i ;i<10;i++){ }
다중 for문
for(int i=0;i<3;i++) { for(int j=0;j<3;j++) { System.out.print(j); //012012012 } }
삼각형 그리기
- 목표 설정 : 삼각형이 어떻게 그려져야 하는지 생각한다.
- 원리 파악 : 높이와 row 값이 달라질 때 공백과 별 개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규칙을 찾는다.
- 순서도 제작 : 입력, 출력, 관계를 표현한다.
- 코드 작성 : 순서도를 바탕으로 코드를 구현한다.
순서도
- 컴퓨터로 처리하고자 하는 문제를 이하여 그 처리 순서를 단계화하고, 처리 단계 상호 간의 관계를 일정한 기호를 사용하여 일 처리 순서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낸 그림.
- 순서도를 이용하면 개발자 상호 간의 의사 전달을 명확하게 하고, 일 처리 과정에 오류가 있거나 변화에 대해 쉽게 고칠 수 있음.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h = 5; //h is height of triangle for (int r = 0; r < h; r++) { //r is row of triangle int emptyCnt = h - 1 - r; while (emptyCnt > 0) { System.out.print(" "); emptyCnt--; } int starCnt = 2 * r + 1; while (starCnt > 0) { System.out.print("*"); starCnt--; } System.out.print("\n"); //line break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