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nHub 사용법준비할 것 기본적인 사이클 알기세부 사용법새로운 Issue 생성하기새로운 Epics 생성하기 Epics 활용하기스프린트 주기 정하기 Issue dependency 활용하기여러 이슈에 Sprints, Epics 등록하기 Issue와 PR 연결 주의할 점Sprint와 Epic의 차이 참고 자료
ZenHub 사용법
준비할 것
-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
ZenHub
설치
기본적인 사이클 알기
- 깃허브 Projects와 동일한 구조
New Issue
: 생각나는 모든 이슈Icebox
: 우선 순위가 낮고 당장은 필요 없는 작업Backlog
: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In Progress
: 진행 중인 작업Review/QA
: pr 항목Done
: 완료 항목Closed
: 클로즈된 이슈
New Issues
→In progress
→Closed
이슈 생성 → 작업한 결과물 PR → 이슈 closed
파이프라인 설명
- Sprint 활용
- 스프린트를 이용해
기간 내에 완료될 문제를 그룹화
- 일반적으로
2주 단위
로 구성
- Epics 활용
- 작은 이슈들을
큰 이슈로 그룹화
- Estimate 활용
다른 작업들에 비해 얼마나 큰가?
를 측정하는 지표
- Issue dependency 활용
- 다른 issue들이 해결된 다음에 진행해야하는 이슈의 경우 설정
세부 사용법
새로운 Issue 생성하기
- New issue 버튼 클릭하여 이슈 생성하기
- 이슈 제목, 세부 내용, 오른쪽 필요 항목 작성하기

- Submit new Issue 버튼 클릭하여 이슈 생성 완료하기
새로운 Epics 생성하기
- New Issue 버튼 옆 + 버튼 클릭 후 Epic 선택하여 생성

- Epic 제목, 세부 내용, Epic Labels 달아준 후 Epic 생성 완료하기

Epics 활용하기
- Epic에 포함된 이슈의 개수 및 진행도 확인 가능
- Epic points 및 진행도 확인 가능
- 해당 Epic의 estimate + 해당 Epic에 포함된 이슈들의 estimate

- Epic 안에서도 이슈 생성 가능

스프린트 주기 정하기
- 스프린트 수정이 필요할 경우 +버튼 클릭 후 Modify recurring sprints 탭 선택

- Change Sprint schedule 버튼 눌러 달력에서 수정 가능
- 왼쪽 스프린트 옵션 설정
- 완료되지 않은 이슈를 다음 스프린트로 이동
- 백로그에서 자동으로 새 스프린트 빌드
- 다음 스프린트에 추가하려는 스토리 포인트 수와 이슈를 추가하려는 파이프라인 조정 가능

- 스프린트 주기 설정 후 rename을 이용한 스프린트 이름 변경 가능

- Save 버튼을 이용하여 저장 완료
Issue dependency 활용하기
- A 이슈를 완료해야만 B 이슈를 진행 가능할 때 dependency 설정 후 block 가능
- B 이슈의 dependency로 A 이슈 등록하기

- dependency 등록 후 B 이슈 진행 불가

- A 이슈가 Close된 이후 B 이슈 진행 가능

여러 이슈에 Sprints, Epics 등록하기
- 등록하고 싶은 issue들의 아바타를 눌러 issue 중복 선택 후 Set Sprint 클릭

- 원하는 스프린트 선택 후 적용

- Epics 등록도 Set Epic 버튼을 클릭하여 같은 방식으로 진행
Issue와 PR 연결
- 깃허브 Projects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 이슈에서도 연결해주고 PR에서도 연결해줘야 자동으로 close된다
주의할 점
Sprint와 Epic의 차이
스프린트는 작업의 짧은 반복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과 관련된 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반드시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스프린트가 시작되면 작업 범위가 고정됩니다.
대조적으로, 에픽은 주제 와 관련된 문제를 포함 하며 범위는 유동적입니다. 팀이 더 큰 목표에 대해 더 많이 발견함에 따라 문제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에 이슈와 작은 부분만 받아들이고 에픽을 스프린트에 추가하지 마십시오. 스프린트에 대한 작업을 수락할 때 에픽을 추정하고 논의할 수 있는 더 작은 문제로 분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