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 방식
Agile ( sprint 반복 )
- 분업화: 의존성이 최대한 없게 짜기 ⇒ 기획 단계에서 고려
작업 흐름
작업 흐름
- 레포를 만들고 contributor로 팀원 초대
- develop 브랜치를 만들고 프로젝트 초기화
- 팀원들 각자 브랜치 따기
- 각자 로컬에서 해당 브랜치 작업 후 원격 push
- 충돌 발생시 수정
- 충돌이 없다면 각자의 원격 브랜치로 push하고 pr 작성 (6시 전에 볼 것만 긴급라벨)
- 긴급 → 2시 회의(알려주고) , 6시회의까지 확인
- 긴급은 먼저 본 사람이 처리해주는 걸로
- 질문이나 회의에 다루고 싶은 안건 관련 문서 디스커션에 올리고 알려주기→ 팀슬랙, 디스코드에서 바로 얘기
라벨
배포, 긴급
- 담당일진 코드 리뷰 통과하면 develop에 pr 후 squash merge
- develop이 실행가능한 단위가 되면 release에 pr 후 squash merge
- release가 배포테스트에 성공하면 main에 pr 후 squash merge
👨👩👧👧 소통 방식
문서화 + 정기 회의 + 담당자 직접 소통
📘 문서화 필수
- 이슈작성 : 작업단위
- 프로젝트: 스프린트 단위
- 이슈 작성 후 프로젝트 자기 보드에 넣어두기
- 프로젝트와 관련 질문, 논의하고 싶은 사항 문서화
- FE만 본다면? 디스커션에
- 전체가 본다면? 팀노션 일정확인에
- 담당이 디스커션 댓글, pr에 리뷰을 해줌 ( 긴급 라벨은 선착순 )
👨👩👧👧 회의
개발 단계 월-목 FE만 하는 회의
- 2시 스크럼 회의 ( 진행 상황 간단히 - 15분)
- 프로젝트 칸반보드를 보면서 진행상황에 따라 todo, inprogress, done 분류
- 빨리 처리해야 되는 논의 사항이 있다면 추가 회의 가능
- 6시 30분 마지막 스크럼 ( 30 - 1시간 )
- 작업 상황 공유만 한다면 30분
- 같이 논의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면 1시간, 디스커션처럼 문서화된 내용을 보면서 진행
- 이 외의 시간대엔 슬랙으로 비동기 소통 중심
- 바로 봐야 하는 디스커션, 이슈, pr이 생기면 슬랙에 봐달라고 요청
- 필요하다면 dm으로 불러내서 가능하면 회의, 안되면 채팅으로 소통
👭 FE & BE 소통
열기
담당자 직접 소통 중심 + 일정 주기 전체 회의
- 기획 단계: 매일 전체 회의
- 개발 단계: 금요일 마다 6시 전체 회의 + ( 문서 +비동기식 소통) + 필요하다면 추가 회의
주기적인 전체 회의
일주일에 한번 금요일 6시
- 추가 회의가 필요하다면 시간 조율
회의안건, 질문 문서화
노션 일정확인에 질문, 논의 사항 문서화
- 태그를 붙여주세요 : FE, BE, Q&A, BUG
- 회의 전 미리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슬랙으로 올렸다고 알려주세요
담당자 간 직접 소통
공통 담당 끼리 직접 소통하기
전체회의가 필요 없는 경우, 팀장을 통해 연락하지 않고 직접 소통합니다.
예) 마이페이지 BE & FE 직접 슬랙으로 소통
- 마이페이지 BE님 지금 사용자 데이터가 부족해요 ㅜㅜ 이런저런 데이터를 더 주세요
- 마이페이지 BE님 서버 에러가 나는데 PAYLOAD에 값은 잘 들어 갔습니다. 혹시 해당 값이 UNIQUE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