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8일
민재
재관
- prototype:
- var, let, const: 선언,초기화,할당 3가지 내용을 말했는데 각각 키워드들 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해주면 좋았을거같아요.
- 호이스팅: 컴파일러가 올려주는건가요?
- 객체 vs 배열:
지영
- 프로토타입: 한 문장이 좀 길어용~ 정돈되면 좋을 것 같슴돠
- var, let ,const: 바로 답변 안하고 고민 한 다음에 답변 시작해도 좋을 듯!!
- 변수 선언 과정: -
- 호이스팅: let 과 const에서는 호이스팅이 안 일어나나요?
- 호이스팅 why: 답변 x
- TDZ: 답변x
- 비동기 처리방법: ~할 것 같다. 확실하게 말하면 더 좋을듯!
- this: 답변x
- 배열과 객체의 차이점: 답변 x
- 클로저: 클로저 장점두 같이 말해주면 좋을듯!
- 클로저 장점: -
천욱
- 변수 생성 과정은 선언 → 초기화 → 할당 순서입니다! 이건 언급해주는게 좋은 대답인것같아요
- 호이스팅에 대한 현상은 잘 말해주고 변수 키워드에 따라 차이점도 잘 말해줬는데 왜 호이스팅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언급해주지 않아서 아쉽습니다!
- 클로저에 대한 설명이 아쉬워욥
재관
민재
- 호이스팅: 오 답변좋음
- 왜 일어날까: 폼 미쳤다.
- this:
- 매서드와 함수: 간략하고 좋았음
- 클로저: 장점으로 메모리 관리에 대한 내용도 추가되면 좋을듯!
- 배열과 객체의 차이점:
- pormise: 언제 도입됐는지 언급한거 좋음, 3가지가 아닌가..? 초반에 콜백에 대한 문제점을 살짝 언급하고 이를 위해 나왔다라고 하면 더 좋앗을듯함
-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체인: 말해보려고 하는것은 좋아요!
- 콜백함수:
- undefined vs null:
지영
- 호이스팅: 굳
- 호이스팅 why?: -
- this: 굳
- 함수와 메서드 차이: 좋네욥~
- 클로저: -
- 배열과 객체의 차이: 답변 x
- promise: 깔끔하게 정리했네용
- 프로토타입: 깔끔하네용
- 프로토타입 체인: 답변x
- 콜백함수: 깔끔~
- undefined와 null: 아주 좋네여
천욱
- 호이스팅이란?
- 오 딥한 대답이라 좋았습니다! 제대로 알고있는 느낌?
- this란?
- 설명 되게 좋은데??
- 함수,메서드 굿
- 클로저
- 정보은닉하는 장점까지 말해줘서 좋았음 메모리 관리까지 말해주면 더 좋을것같아용
- 배열,객체
- 배열은 순서 보장하고 객체는 순서 보장하지 않는다? 이거 맞나요??
- Promise
- 상태까지 언급하니 더 좋네요!
-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체인
- 프로토타입 잘설명해주신것같은데 꼬리질문으로 프로토타입체인까지 나올 수 있을것같음!!
- undefined, null 차이
- 과연 null은???? ㅗㅜㅑ
지영
민재
- var~~: 너무 잘하는걸 ES6 언급해주면 더 좋을듯?!
- 호이스팅: 좋습니다 근데 살짝 빠른 느낌~?
- 클로저: 메모리 관리 말해주세용~~
- 렉시컬 환경:
- this: 좋아요
- 스코프:
- 자스 비동기 처리:
- 싱글스레드: 이벤트루프
- 태스크 큐!
- 배열과 객체: 이터러블에 대해서 나도 잘모르지만 진짜 깊게 들어가면 나올수도..?
- map set
재관
- var, let, const:
- 호이스팅:
- 클로저:
- 렉시컬 환경:
- 실행 컨텍스트 질문을 할 수 도 있을듯.
- 내부함수는 언제 평가될까요?
- this:
- call, bind, apply:
- 비동기:
- js는 싱글스레드 인데요?:
천욱
- var,let,const : TDZ 얘기도 추가해주면 더 완벽해질듯
- 클로저
- 장점까지 말해줘서 좋았음!
- this란?
- 무야호 (call, bind, apply)
- 비동기 처리 방법, 싱글스레드, 이벤트루프 로직
- 무야호
- Map, Set 질문좋다
천욱
재관
- 스코프: 함수레벨 스코프도 있고 블록레벨 스코프도 있고 하니까
중괄호
를 이용해서 만든다는 말이 정확한지 모르겠어요. 스코프, 스코프 체인을 나누어서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거같아요.
- prototype: -
- undefined vs null: type이 존재한다?
- 동기 vs 비동기: -
- 비동기의 예: -
- 이벤트 버블링 vs 캡쳐링:
- 캡쳐링은 어떻게 사용할까요?
- 이벤트루프:
call stack
이 브라우저 껀가요? 이벤트 루프를 설명할 때 ‘테스크 큐
’ ← 를 말하고 싶었던거 같아요.
- promise all vs race: -
- callback: 인자로 넘기는것 → 인자로 넘겨지는 함수를 말하고 싶었던거같아요.
- callback hell: 단점이 무엇일까용?
민재
- 스코프: 전역, 지역 키워드를 사용하는게 시작할땐 좋을것같아요! 스코프체인에 대해서 이야기한건 좋지만 좀 더 용어를 준비하면 좋을것같아요
- 프로토타입: 상속에 관해서 이야기하는게 좋을듯!
- undefined, null: 질문이 러프했는데 좁혀말한건 좋은것같습니다.
- 비동기적, 동기적 함수: 설명 간략하고 나쁘지 않았음!
- 이벤트 버블링, 캡쳐링: 감싸진 요소들 설명이 빠진느낌이라 아쉬워요!
- 이벤트루프: 답변 아쉽.. 천욱이도 나와같이 고민하고 이야기하는게 좋겠음 연습하자 우리…
- promise.all, promise.race: 답변 x
- 콜백 함수: 비동기적 이야기보다 근본적인 내용을 말해주고 비동기와 관련해서 들어가면 더 좋을거같아요! 엇 담질문에서는 잘 대답해주심
- 콜백 지옥: 체인 말구 뎁스 키워드가 좋을듯
지영
- 스코프: 전역, 지역 스코프에 대해서도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음!
- 프로토타입: 답변 x
- undefined, null 비교: 그럼 undefined는 타입이 없는건가? 궁금해지네요 ㅎㅎ
- 동기-비동기: 굳
- 비동기적 코드 예: 간단하게 이정도로 설명해주면 되려나?
- 이벤트 버블링/캡쳐링: -
- 자바스크립트 싱글스레드: 저 마음 백번 이해감 다시 정리해서 설명하려는 시도가 좋았어요 (답변 x)
- Promise.all/Promise.race: 답변 x
- 콜백함수: -
- 콜백지옥 + 해결방법: 어떻게 해결할건지 더 자세히 설명해주면 좋을듯~ async/await의 장점이라던지? 왜 async/await를 사용하는지?
4월 21일
민재
재관
- 이터러블 순회 방법: 인덱스가 무조건 있나요? for, map, foreach
- 차이가 있나요?: i ?
- 클로저:
- 전역변수의 문제점:
- 즉시실행함수: 익명함수가 아니면 즉시 실행 함수가 아닌가요?
- this가 뭐니: 흠. . . . this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했는데 this가 무엇인지 말할 수 있었을거같아요. this가 뭔지 → this가 다르게 바인딩 되는 상황들 설명.
- 호이스팅: -
- var, let, const: 선,초,할 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쉬울거같아용.
- TDZ는 뭘까용
- queue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 shift, unshift: 시간 복잡도 개념알고 있으니까 그거 대입해서 말하면 좋을거같아요.
- 엄격모드 vs lose 모드: 차이점을 물어 볼 수 도 있을듯
- 내가 궁금한거: 재할당 할때 어떻게 동작함? (메모리 측면에서)
천욱
- 이터러블 - for?? for…of 가 더 정확하지 않을까욥?
- 클로져 - 내부 함수의 꼭 변수가 아니어도 되지 않나요??
- 즉시실행함수 쓰는 이유 - 답변x
- what is this - 전역 객체를 this로 활용한다 → this가 전역객체를 가리킨다가 더 맞는 표현 같아요!
- 호이스팅 - 너무 어렵게 설명하려는 느낌!
- var let const -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하는 스코프..?, 너무 어렵게 설명해주려는 느낌이 듭니다! 중괄호와 스코프같은 단어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것 같아요
- queue를 어떻게 구현하나요? - shift, unshift는 값을 뺀 이후에 값들을 다 정렬시켜서 시간복잡도 때문에 성능이 안좋은거 맞나요?? 어떻게 구현하는게 가장 효율적인가욥? (직접 만드는게 제일빠름 연결리스트로)
지영
- 이터러블을 순회할 수 있는 방법: map과 set의 경우 인덱스가 없으니까 인덱스 설명은 안 넣어두 될듯!
- for문, map, forEach(말한 방법들) 차이점:
- 클로저: 굳
- 전역변수의 문제점: 오호~
- 즉시 실행 함수: 좋네여
- 즉시 실행 함수 실행 이유: 답변x
- this: 생성자 함수를 어떤 환경에서 호출했느냐가 기준이라고 하는데 생성자 함수라고 해도 되는건지?? 하는 궁금증이 들었음당(몰름) 이후에는 잘 말해줬네유~
- 호이스팅: 평가/실행 단계로 나눠서 설명해준 거 좋네여 말 안나올 땐 정리하는 시간 갖는 것두 좋았어요
너무 내용이 어렵다보니까 설명하기가 어려워진 거 같아요! 쉽게 설명해도 좋을듯!
- var, let, const: let과 const는 중괄호 안에서만 유효하다고 했는데 전역에서는 쓸 수 없는지? 질문 들어올 수도 있을 것 같아여
- 자바스크립트로 큐 구현하는 방법: 므야 어려워
- 자바스크립트로 shift, unshift 구현했을 때 다른 언어에 내장되어 있는 큐와의 차이점: shift 성능 언급한 거 좋은 방향일지두?
- shift는 왜 성능이 안좋은지: 오호
- 엄격모드: 굳
- 전반적으로 차분해지고 고민하고 얘기하려고 하는 점이 좋았어여~~
재관
민재
- 오오..
- 클로저: 굳굳.. 우리 다같이
useState
클로저 어떻게 쓰는지 공부하자..
- 동적 타입: 타입 추론 관련 내용 설명 굳굳
- this: 생성자 함수가 아쉽!
- Symbol: 나도 모르겠는데,,,
- map, set: es6 굳 중복허용 차이
- 오 설명 좋았다.
- 실행 컨텍스트:
- 스코프:
- 이벤트 위임
- 이벤트 캡처링, 버블링: 설명 간결하고 해결법 좋았음,
- 화살표 함수, 일반 함수:
인스턴스를 만들수 없다는 것
을 설명하면 this를 더 수월하게 말할 수 있을듯
- 호이스팅 이유: 실행 컨텍스트쪽으로 묶는게 어떨까요?
천욱
- 프로토타입 상속
- 클로져란? - 렉시컬스코프, 생명주기, 캡슐화 같은 키워드 언급하면서 설명해주셨는데, 좀 더 정리해서 말해주면 더 좋을것같아요! (나도 이거
조리
있게 말하는게 어렵더라.. 뭔지는 알겠는데 ㅠ)
- Symbol타입이란? - 답변x
ES6에 새로 도입된 원시타입입니다. Symbol은 고유하고 변경할 수 없는 식별자를 생성하고 한번 생성하면 복사할 수 없습니다. Symbol은 객체의고유한 프로퍼티 키를 만들기 위해 사용
합니다.
- Map, Set - 굿
- 실행컨텍스트 - 굿
- 스코프 - 굿
이벤트 위임
- 뭔지는 아는데 설명이 안나오는 느낌! 문제 내는 나도 당황함 정리합시다!
- 버블링, 캡쳐링 - 정의 설명 좋았습니다! 막는 방법 - 캡쳐링 뭐 있었던거 같은데,, 나도 몰라서 물어봄..
- 호이스팅 일어나는 이유 - 이건 진짜 대답 잘하는듯!
지영
- 프로토타입 상속: chat gpt다
- 클로저: 굳
- 사용경험: useState
- 동적언어: 예시를 들어주는 게 좋네여
- this: 다른 언어와 다르게 ~ → 다른 언어는 어떻게 바인딩 되는지 궁금해짐, 동적으로 어떻게 바인딩 되는지 메서드나 생성자 함수 예시 들어줘도 좋을듯! 지금도 깔끔하네여
- symbol: 답변x
- Map, Set: set도 키가 있나여?? (궁금증임)
- undefined, null: 깔끔 굳
- 실행컨텍스트: -
- 스코프: 전역과 지역의 차이점을 좀 더 들어주면 좋을 것 같네여~
- 이벤트 위임: 설명은 좋은데 자식-부모 관계라는 것을 언급하면 더 좋을 것 같아욥!
- 이벤트 버블링과 캡쳐링: 설명 굳
- 막는 방법: 버블링 굳/캡쳐링은 기본으로 동작 안하는거던가?
- 화살표 함수vs일반 함수: 좋아유
- 화살표 함수가 객체의 메서드가 될 수 없나여?: 이유를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은데 나두 몰루
- 함수 선언식 vs 표현식: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안일어나나여??
지영
재관
- 함수 vs 메서드:
- 생성자:
- new 키워드 사용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 실행컨텍스트: this에 대한 정보도 있나?
- 스코프는 뭘까유?
- 변수 선언할때 어떤 과정이 있나요: 메모리 할당이 초기화 단계임?(진짜모름)
- 호이스팅 왜: 흠… lexcial recode 이야기가 나오길 바랬음.
- rest, spread:
- strict mode: strict to strict
- 왜 쓸까요?
- call by ref, call by value: 언제 쓰는게 좋을까? 언제 쓰일까?
- promise:
천욱
-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
- 생성자 - contructor(클래스), new 같은 키워드 언급 좋았고 장점까지 말해줘서 굿
- 실행컨텍스트, 스코프 - 스코프를 사용하면 메모리 관리에 효율적? 만약 진짜 면접관이라면 메모리 관련해서 더 물어볼 수도 있을것같음!
- 호이스팅 일어나는 이유 -
- this - call, apply, bind 걍 싹 외워버렸네 저번에 모른다고 했던거같은데 굿굿
- strict-mode -
- 얕복 깊복 -
- async await -
- Promise - Pending, Fulfilled, Reject 언급도 해주면 좋았을듯!
민재
-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 나쁘지 않음
- 생성자: 생성자함수에서 constructor를 쓰던가..?
- 실행컨텍스트: 설명 좋았네
- 스코프설명 좋았음.. 깔끔함
- 변수 선언시 동작 순서: 3가지 조리있게 잘말해줌
- 호이스팅: 뭔가 본인이 아쉬워한 느낌인데..?ㅋㅋㅋ
- this: call bind apply 오… Call 설명은 조금빠진느낌 한마디만 들어갔으며ㅓㄴ 좋았을듯
- rest, spread:
- strict mode: 대응 잘한듯?
- 깊복 얕복:
- async/await: 좋아요 es8에서 도입된거 말하면 좋을듯?
- finally 까비..
천욱
재관
- 즉시실행함수: 왜쓸까~?: 전역스코프 오염을 피할 수 있대요.
- 화살표함수 vs 일반함수(?)(선언형, 표현식) : this 바인딩이 안된다? 보다 this를 선언할 떄의 this를 참조한다 라고 이야기하면어떨까요?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 사용할 수 없다(인스턴스 못만듬 ⇒ 메서드로 못씀), this, ?
- 선, 초, 할: 공통적으로 선,초,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var, let, const가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 해보아도 좋을거같아요. 선언이야기 할 때 메모리 이야기가 나왔으면 어떨까요?
- 호이스팅: 흠………. 흠흠흠 ………. 흠 ……….. 뭔가 알고 있는데 정리가 잘 안된느낌s?
- 실행 컨텍스트: -
- 스코프: 변수만? 함수는? 식별자 라고 하면 둘다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
- 클로저: 렉시컬 스코프 이야기 하는거 좋아요.
- 써본적있음?: 클로저 장점으로 보안을 이야기 해쓴데 react useState때 써봤다고 해서 혹시 보안 장점을 느껴본 경험도 있는가? 물어보고 싶긴했음.
- JS가 왜 동적타입 언어?
- 깊복 vs 얇복:
- Class: 클래스로 ‘뭘’ 만들까요?
- 생성자 함수로 객체를 만드는 과정: -
민재
- 화살표, 일반함수 차이 this 인스턴스
- 실행 컨텍스트를 언급한건 좋았습니다. 재할당이라고 하면 좋을듯!
- 실행컨텍스트: 오히려 조금 어렵게 설명하는 느낌이 들어요 간단히해도 좋을듯
- 스코프 설명 좋았음 전역 스코프 지역스코프로 이야기하면 더 좋앗을듯함
- 클로저 사용 경험 좋았음. 근데 마지막에 자신없어서 아쉬움
- 동적타입언어 설명 좋았음 오히려 준비안한 느낌인데 대답잘했네
- 깊복 얕복: 답변 X
- Class: 추상화하면 좋은것이지 꼭 클래스의 주요한 내용은아닌거같다!
- 생성자함수: 과정 아쉽
- 지난 시간보다 차분했던거 같아서 좋아요
지영
- 즉시실행함수: -
- 장점: 답변x
- 화살표함수 vs 일반함수: this 등 주요 차이점에 대해 좀 더 말해주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변수 단계 차이점: 변수에 따른 단계 차이를 설명해주는 것은 좋았으나 선언, 초기화, 할당 자체가 어떤 역할을 해주는 지 설명해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여
- 호이스팅: -
- 실행컨텍스트: 조금만 정리해서 말해주면 더 좋을 것 같아여~~ 과정을 하나하나 설명하기 어렵다면 전반적인 정의를 설명해주는 것도 좋을듯
- 스코프: -
- 클로저: 정의가 좀 더 정리되면 좋을 것 같네용!
- 활용 경험: useState가 클로저 기반이라고 언급해준 것? 좋네용 근데 언급한다면 왜 useState가 클로저를 사용하는지 질문이 들어올 수 있을 것 같아요
- property와 attribute: 답변 x
- 동적 언어: 굳
- 깊은 복사vs 얕은 복사: 답변x
- 클래스: 너무 어렵게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추상화한다? 무엇을?? 궁금하네용
-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면 어떤 과정으로 객체가 생성?: 설명하려했으나 답변x (나도 몰루…)
4월 25일
천욱
지영
- 프로토타입: 가끔 끊어말하는 부분에선 전체적인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될 때가 있어용! 그래서 다시 문장으로 말해준 게 좋았습니당!
- 명령형 프로그래밍 vs 선언형 프로그래밍: 설명하려고 노력한 부분이 좋았네요!
-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 메모리 주소를 복사하는건가?? 나두 찾아봐야할듯
- 제너레이터: 답변x
- 이벤트 버블링과 캡쳐링: 캡쳐링 addEventlisner 두번째 인자던가? 3번째 인 거 같아용
- 이벤트 위임: 답변x
-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 → this가 해당 함수를 가리킨다? 상위 스코프!
- 이벤트의 콜백함수로 화살표 함수를 권장하지 않는 이유: 맞는 답변인 거 같은디?
- this: -
- call, bind, apply: call에 대해 좀 더 설명해주면 좋을듯~
- 실행컨텍스트: 좀 더 설명해주면 좋을듯~~
- 렉시컬 환경: 렉시컬 스코프… 렉시컬 환경 자체에 대해 더 설명해줘두 좋을듯?
- 스코프: 좀 더 설명해줘도 좋을듯?
- 다른 스코프는 참조 불가능?: 전역, 지역에 대해 설명해주었는데 좋았어유 스코프 말할 때 이 부분도 같이 설명해주면 좋을듯! 클로저는 또 꼬리질문 들어올 수 있을 것 가타여
재관
- 프로토타입: 상속 받은 데이터들? 받을 수 있는 데이터들? ‘데이터들’ 을 프로토 타입이라고 하는건가용?
- 명령형 vs 선언형:
- js는 왜 선언형일까요? 왜 그렇게 짜야할까요?
- 깊, 얕 복사: -
- 이벤트 버블링, 캡쳐링:
- 두번째인자로 ? ? ? ? ? ? ? ? ? addEventlistner(event, callback, option ) 인가?
- 위임: -
- 일반함수 vs 화살표함수:
- 이벤트 리스너 callback으로 화살표 함수를 지양하는 이유: 그럼 this가 뭘 가리키고 있을까요?
- this: 일단 this가 뭔지 알려주면 좋을거 같아요.
- call, bind, apply:
- 실행 컨텍스트:
- 렉시컬 env: -
- 스코프:
- 다른 스코프로 참조 못하나요?
- 클로저 얘기 해서 이것도 물어볼듯.
민재
- 프로토타입: 나쁘지 않당 조금만 더 정리되면 좋을듯
- 명령형, 선언형 프로그래밍: 앗 반대로 말해야해 For문 명령형, map 선언형
- 깊, 얕:
- 제너레이터:
- 이벤트버블링, 캡쳐링: root까지만 언급하는게 더 맞지 않나..? 3번째 인자!
- 이벤트 위임:
- 화살표, 일반함수: 일반 함수가 window를 가르키는건 조금 문제가 있을듯
- this: 약간 아쉽다.
- 실행컨텍스트: 아쉬워~~~
- 스코프: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좋음 후속 질문에는 대답되게 잘했음
지영
천욱
- Symbol - 고유한 값을 설정한다…. 살짝 아쉬운 답변인 느낌??
- 일급객체란?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객체이다.
1. x(함수)를 변수에 담을 수 있다.
2. x(함수)를 매개변수로 넘길 수 있다.
3. x(함수)를 함수에서 반환할 수 있다.
여기서 x를 만족할 때 이를 일급객체라고 한다.
- 콜백지옥해결법 -
- Ajax - 갑자기 물어본건데 잘 답변해준것같아요! 장단점에 대해서 좀 더 숙지하고 본인이 사용해봤는지도 대비하면 좋을듯!
- 클로저 -
- 이벤트루프 -
재관
- this:
- 이터러블:
- 함수:
- 1급객체가 뭘까요?
- 생성자 함수: 어케씀?
- 구체적인 과정도암?
- new 안쓰면? : 맞는말임. 근데 저는 this 바인딩에 대한 대답이 듣고싶었어용. 데헷
- DOM
- querySelector이야기 나오길래 어떻게 동작하는지 아냐고 물어보고싶었음.
민재
- this: 깔끔해~
- 이터러블: ㄷㄷ..
- symbol: 불리언값이라고 했나..?
- 함수 선언식, 표현식:
- 1급 객체: 답변 x
- 콜백 함수: 좋았는데 익명함수를 쓰긴하지만 아닌경우도 있어서 빼는게 좋을것 같아용
- 콜백헬 해결 방법: 술술 나오네.,.
- ajax:
- 함수를 생성자함수로:
- 호이스팅: 좋아용
- 클로저:
- DOM:
- 이벤트루프: 콜스택, web api, task queue
민재
지영
- 실행 컨텍스트: 까먹었지만 기억해냈군요 ㅋㅋㅋ 👍👍 실행 컨텍스트니까 렉시컬 환경까지는 자세히 설명 안해두 될 것 같기도 하고?? 근데 다 설명해주면 잘 알고 있는 거니까 정리만 잘 되면 좋을 것 같아여~ 실행컨텍스트보다 렉시컬 환경에 치중된 느낌!
- 하위 요소의 버튼들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 이벤트 위임에 대한 질문인듯!
- 이벤트 위임: 답변x
-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 굳 막는 방법 물어보려고 했는데 먼저 말해줬네요 좋아욥
- map과 set: -
- map과 객체의 차이점: 이터러블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 좋을듯~
- 프로미스: 굳
- 프로미스 사용 경험:
- pending 시간이 무한대로 길어지면?:
—- 네트워크가 이상해 뭐야
- ==, === : 굳
재관
- exe context:
- 델리게이션: 개인 플젝 내용이라 물어봤어용.
- map vs set:
- 프로미스 :
- padding 시간이 매우 길면 어떻게 되나요?
- == vs ===:
var x = 5, result;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천욱
- 실행컨텍스트 - 우리 복습하자 형.. 🥲
- 이벤트 위임 유도 질문이였던 것 같다! 데브코스때 배웠던 내용이라 강의 복습해보면 좋을것같아용(로토님 강의였나)
- == 과 === 차이 - 잘 알고 있는것 같아요!
- 민재형 답
6 5
7 6
6 6
5 5
위에 문제 정답
// 선대입 후증가 (Post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대입 (Pre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대입 후감소 (Post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대입 (Pre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5
재관
지영
- 렉시컬 스코프와
동적 스코프
: 렉시컬 환경에 대해 설명해주었는데 렉시컬 스코프에 대해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네여!! 그래도 아는 것 말해준 거 좋았어용
렉시컬 스코프는 함수 선언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상위 스코프, 동적 스코프(다이나믹 스코프)는 함수 호출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상위 스코프이다.
- 즉시실행함수: 굳
- 익명함수로 작성하는 이유: 답변 x
-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 굳
- 이벤트 위임: 굳
- 사용경험: 굳
- 클래스와 프로토타입 차이점: 굳
- 모듈과 번들러: 굳
- this: 굳
- 함수 선언식 vs 표현식: 굳
- 제너레이터: 굳
- 데이터 타입: 굳
- symbol:
- 이터러블: for..of문 디스트럭처링 할당 스프레드 문법…에 대해 더 언급해줘도 좋을듯!
- 코드문제: 렉시컬 스코프에 관한 문제네용! 선언된 곳을 기준으로 상위 스코프가 설정된다!
천욱
- 렉시컬, 동적 스코프 - 동적스코프?? 나도 모르겠당..
- 즉시실행함수 - 익명함수로 작성하는이유?? 메모리 때문인거같은데
- 이벤트 위임 - 어쩐지 준비한거같더라 이거 굿굿
- 자바스크립트 모듈, 번들러 - 예상 외의 질문을 했는데 잘 대답해준것 같아요! 조금 더 들어가서 CommonJS나 AMD, UMD에 대해서도 준비하면 좋을것같아요~
- 제너레이터 - 그 yield?? 여기에 포함이 되나?
Symbol
왜 무시해 :( - 오 설명 괜춘
코드문제 정답
1
1
답은 고치면 안됩니다! ㅋㅋ
위 예제의 실행 결과는 함수 bar의 상위 스코프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두가지 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함수를 어디서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이다. 첫번째 방식으로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면 함수 bar의 상위 스코프는 함수 foo와 전역일 것이고, 두번째 방식으로 함수의 스코프를 결정한다면 함수 bar의 스코프는 전역일 것이다.프로그래밍 언어는 이 두가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첫번째 방식을 동적 스코프(Dynamic scope)라 하고, 두번째 방식을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 또는 정적 스코프(Static scope)라 한다. 자바스크립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른다.렉시컬 스코프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는지가 아니라 어디에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선언한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결정된다. 함수를 어디에서 호출하였는지는 스코프 결정에 아무런 의미를 주지 않는다. 위 예제의 함수 bar는 전역에 선언되었다. 따라서 함수 bar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고 위 예제는 전역 변수 x의 값 1을 두번 출력한다.
민재
- 렉시컬 스코프: 굳 아주좋은듯
- 동적스코프 나도모름..
- 즉시실행함수: 익명함수로 안하는 이유는 재사용이 불가능해서 설명이 넘 좋아서 좀파봤엉..
- 이벤트 위임: 굳굳..
- 클래스와 프로토타입:
- 모듈과 번들러: 이것도 정리해야할듯..
- This: 이제 거의 도사인듯 ㅋㅋㅋ
- 제너레이터: 오,,
- 데이터 타입: 7번째 친구 symbol! ES6일걸..? 오 어떨때 쓰는지 말하는건 아주좋앗음
- 이터러블: 객체..는 아닌거? 배열 문자열 map set
- 나도 풀어볼래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