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언어(Ubiquitous)
- 이체 : 내 자산 안에서의 금액 이동
- 자산 : 자본 + 부채
- 카테고리 : 식비, 교통/차량 등 금액의 사용 분류를 말함
- 검색과 조회는 다른 의미의 용어다
- 검색 :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필터를 설정해서 데이터를 보는 방식
- 조회 :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는 방식
- 필터링과 검색은 다른 페이지로 인식해야 한다
- 필터링 : 화면 우측 상단 필터링 아이콘을 통해 들어가는 페이지
- 검색 : 돋보기 모양 아이콘을 통해 들어가는 페이지
MoSCoW
UserStory
3Must
18Should
15Could
8Won't
3사용자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수입 지출 등록 시 분류(식비, 건강..)를 선택할 수있다
1
사용자는 수입,지출,이체 등록 시 해당 거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0.5
사용자는 수입,지출,이체 등록 시 금액을 명시할 수 있다
0.5
사용자는 지출을 등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수입 지출 내용을 필터링해서 검색할수 있다
4
사용자는 수입을 등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일일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1
사용자는 월별 조회를 확인한다.
1
사용자는 캘린더로 한 달 지출,수입을 확인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총 지출, 수입을 확인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수입에 대한 통계를 확인한다.
2
사용자는 지출에 대한 통계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이전 내역을 확인 할 수 있다.(현재 7월이면 뭐 6월 5월)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1
사용자는 기본적인 카테고리를 제공받는다
1
사용자는 달력, 월별에서 항목 선택할 시 해당 날짜 지출 페이지로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셜 로그인을 할 수 있다(구글)
5
사용자는 이체 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그인할 경우 동기화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내역을 등록한다
사용자는 달력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산에 분류를 선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페이지를 통해 월/주간 시작일 설정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페이지에서 내역 자동완성을 키고 끌 수 있다
사용자는 지출을 할부로 등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지출을 반복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3
사용자는 주별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3
사용자는 수입을 반복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4
사용자는 남은 예산을 확인할 수 있다
1
사용자는 예산을 등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전체 예산 대비 오늘 날짜 기준의 예산 사용률을 확인 할 수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