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 프로젝트 기간에 좋았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TypeScript의 적극적 활용
- type에 대한 정의를 모두 진행하여, 안정된 코드를 짜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
- 다른 사람의 코드, 컴포넌트를 결합하는데 있어 편리함
- index, styled, types로 분리된 컴포넌트 파일
- index 파일에는 로직에 대한 코드만 남아있어, 로직을 파악하기 훨씬 간편함
- base 컴포넌트부터 직접 개발하여 사용
- 컴포넌트 개발을 하는 연습도 되었고, 조금 더 의도한 방향으로 컴포넌트를 작성할 수 있었음.
-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제작하는 좋은 연습의 기회
- 나름 준수한 결과를 보여줬던 다운탑 방식의 컴포넌트 개발
- 초중반까지는 Wiki를 통해 나름 새롭게 알아낸 사실들을 기록해두었다.
Bad
- 프로젝트 기간에 아쉬웠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백엔드와의 협업에 있어 협업도구 활용의 부족
- JIRA를 사용하는데 있어 조금 더 백엔드와의 긴밀한 소통이 못이루어짐
- 멘토님이 말하신 1:1로 이루어 기능을 구현하는 형태..? 가 이상적일듯
- 기능 명세서의 활용 부족
- 기능 명세서에서는 작성되어있으나, 명세서를 확인하지 않고 개발을 하다가, 놓치게 된 기능들이 존재
- 일관된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해, 라이브러리(React-transition-group)를 도입할 필요성을 느꼈다. 애니메이션을 위한 로직들이 있다보니, 로직의 가독성이 많이 떨어진듯하다.
- Wiki가 개발 중반부부터 마감에 쫒기다보니 많이 작성되지 않았다.
- API 로직의 일원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 느슨한 기획, 디자인
Keep
- 좋았던 점 중에서 다음에도 유지하고 싶은 것들을 적어주세요.
- 강도 높은 코드리뷰
- index, types, styled로 구분된 컴포넌트
- 다운탑 방식의 컴포넌트
Problem
- 아쉬웠던 점에서 실제로 문제로 발생했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협업도구 활용의 부족으로 인한 백엔드와의 진척도 문제
- 급한 마감으로 인한 page 컴포넌트가 더러워짐
- 급한 마감으로 인해 막판 코드리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
- 기능 명세서의 활용 부족
Try
- Keep 사항 중에서 한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시도해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Problem 사항 중에서 문제를 예방하기위해 시도해 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Wiki 내용을 가다듬는다.
- API 로직을 일원화 시킨다.
- 기능 명세서의 적극 활용. 또한, 수정사항이 있을때 내용을 바로바로 기록해두는 룰이 있어야 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