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건
(생각 하시는게 있다면 더 추가해주세요)
- 스프린트 기간을 어느 정도로 가져갈 것인지(demo day 고려)
- 각 팀 리더
- 깃 허브 단일 레포 vs 다중 레포
- 팀 규칙 (존댓말을 쓴다, 회의 시간은 최대 한시간으로 잡는다, 하루에 회의를 스크럼을 몇번 진행한다 등)
- 협업 툴 (JIRA, Trello, 등)
01. 스프린트 기간
프로젝트 일정
- 스프린트 일정은 주제 및 세부적인 내용의 윤곽이 나온 뒤에 정하면 좋을 것 같음
02. 각 팀 리더(?)
- 팀 리더는 FE/BE를 따로 정하면 좋을 것 같음
-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것 같음
03. 레포지토리 관리
- 다중 레포로 FE/BE를 나눠 구성하는게 좋을 것 같음
- 프로젝트 규모가 그렇게 큰 건 아니기 때문에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지는 않을 것 같다.
04. 전체 팀 규칙
- 회의, 스크럼시에는 존댓말을 사용하자
- 회의 시간은 1회 최대 한 시간으로 진행하자
- 건의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하기(팀 규칙, 프로젝트 관련 무관)
스크럼
- 1일 1회
- 오픈 스크럼 형식
- 스크럼 정리는 돌아가면서 했으면 좋겠다~
회의
- 정기 회의를 정하기(스프린트 단위 기준)
- 그 외에 회의가 필요한 사항은 Slack을 통해
자유롭게
공유!!!
참고~


프론트엔드 팀 규칙
- 오프라인
- (월), (화), (목), (금)
- (수)는 자율
- 리뷰 짝 3명
- approve 2인 이상 받으면 merge
- 팀 코드에 책임감을 가지자!
- 일일 회고를 짧게라도 하자!
MVP
를 기준으로 스프린트 단위를 정하자
05. 협업 툴
github project
로 사용하자- 학습 비용
- JIRA를 이용했을때 조금 폐쇄적이라 포트폴리오에 링크를 첨부하거나 하기 어려움
- 접근하려면 권한이 필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