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 달아주면 확인할게요
http Request를 보내고, http Response를 받는다
조금 더 자세히 보자면
용어정리
- (Computer) Network: 컴퓨터간의 연결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주고받을 수 있음
- 즉, 컴퓨터가 한 대만 있으면 할 수 있는 일이 적지만, 여러대 연결되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음 (다양한 웹사이트 탐색, 데이터 전송, 메일 송,수신 등)
- (오해하지말기) 네트워크는 컴퓨터 분야에서만 쓰이는 게 아님. 사람과 사람사이의 네트워크, 물류 네트워크 등
- Internet: 네트워크 중 하나, 전세계 네트워크를 연결한 거대한 네트워크
- 그래서, 전세계 웹 사이트에 접근, 열람가능
- TCP/IP 프로토콜 사용
- (TMI) 인터넷의 시작점은 미국 국방부, 군사목적으로 컴퓨터 4대 연결 → 인터넷의 시작 (ARPA 네트워크)
- Mac address: 제조 시, 랜카드에 새겨지며, 전세계 유일한 번호
- 고유의 장치를 찾아감
- IP address(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식별주소 (각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ip주소가 있다)
- Port: IP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할 수 있는 번호
- 3000번 포트에 리액트 앱이 켜져있고, 8000번 포트에 docker가 켜져있음 → 3000번 포트에서 index.html request 했는데..8000번으로 가면 큰일남!
- Switch
- 스위치는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가 있음
- MAC Address Table : 포트번호 - 연결된 장치의 MAC주소를 알고 있음 → 연결된 장치를 알고 있음

- Router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음
- 각각의 네트워크는 ip 주소로 구분한다

- Default Gateway(기본 게이트웨이)
- 가장 가까이 있는 라우터의 ip주소 (라우터도 어떤 장치가 연결됐는지 알고있음)
어떻게 지구반대편 컴퓨터와 소통할 수 있을까?

미션
이 복잡한 인터넷 세상에서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할 때, index.html을 받아오는 여정을 떠납시다
- 웹 우체부 직원이 되어보는 거죠!



더 더 자세히
- 각 계층마다 일어나는 일
- 예를들어, 전송계층
- TCP - 3 Way-Handshake & 4 Way-Handshake
- UDP
참고자료
- 영상
- 인터넷 동작원리 : 큰 흐름잡기 좋음 👍
- 네트워크층으로 알아보는 인터넷 원리
- 네트워크 모델로 알아보는 공유기의 원리
- 책
- 모두의 네트워크
- http 완벽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