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gers3AWS 기반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작하기 | Amazon Web ServicesSpring Boot 는 JVM(Java Virtual Machine) 기반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오픈 소스 기반 Spring Boot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Spring 프레임워크 위에 자동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Cloud for AWS를 이용해서 간단한 Sprinb Bo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pring Cloud for AWS 소개 Spring 프레임워크는 Java 개발자(또는 Kotlin과 같은 다른 JVM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getting-started-with-spring-boot-on-aws/[Spring] Spring Boot AWS S3 사진 업로드 하는 법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로 AWS S3로 File Upload 하는 법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AWS S3 Bucket 생성을 하겠습니다. 그리고 권한 탭을 들어가겠습니다. ARN을 복사하고 정책 생성기 를 누르겠습니다. 그러면 위에서 입력했던 대로 잘 입력됐는지 확인하고 Generate Policy 를 누르겠습니다. 위의 정책 내용을 복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변경사항 저장 을 누르겠습니다.https://devlog-wjdrbs96.tistory.com/323github action정리github.com - actiongithub action 기능을 아시나요?github action은 github에서 제공하는 컴퓨터입니다. 이 컴퓨터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소개해드릴께요.예를들어서 작업을 끝내고 push를 합니다. github action에서 빌려드리는 컴퓨터로 자동으로 코드 테스트를 실행합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uBOdEEzjxzEWorkflow syntax for GitHub Actions - GitHub DocsWorkflow files use YAML syntax, and must have either a .yml or .yaml file extension. If you're new to YAML and want to learn more, see " Learn YAML in Y minutes." You must store workflow files in the .github/workflows directory of your repository. The name of your workflow.https://docs.github.com/en/actions/learn-github-actions/workflow-syntax-for-github-actionsCI/CD1번 방법Github Action과 AWS CodeDeploy를 사용하여 Spring Boot 프로젝트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hub Action과 AWS CodeDeploy를 사용해서 CI/CD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수동으로 매번 배포를 할 수도 있지만, CI/CD 파이프라인을 한 번 구축해두고 나면 매번 수동으로 배포할 필요가 없어 정말 편리하기 때문에 꼭 구축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포스팅에서 구축할 파이프라인의 진행할 순서를 간단하게 그림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https://shinsunyoung.tistory.com/1202번 방법[Deploy] CodeDeploy로 자동배포 해보기참고 jojoldu님의 블로그 게시글을 참고했습니다. 와중에 시간이 흘러 조금 바뀐 부분이나 제가 애먹었던 부분에 대해 추가하여 포스팅합니다. 참고 AWS EC2 instance가 running 상태임을 전제로 합니다. 참고 AWS EC2 instance OS로 Ubuntu를 사용하였습니다. 참고 AWS 홈페이지 언어는 "한국어"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AWS IAM으로 이동하여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사용자 이름"을 자유롭게 설정합니다.https://woomin.netlify.app/Posts/2020-05-12-CodeDeploy/Automate Your Development Workflow With Github Actions - DZone DevOpsHi everybody. My name is Hacene. I am a software developer and interested in DevOps. Today, I will show you how to automate a development workflow life cycle using Github Actions. On November 13, 2019, Github engineers revealed some news: GitHub Actions is supporting CI/CD now, and it's free for public repositories!https://dzone.com/articles/automate-your-development-workflow-with-github-act-1지리오 서비스 구축기 (3) Github Actions, Slack으로 CI/CD 구축하기실제 개인 서비스 "지리오"를 만들면서 한 일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Github Actions와 Slack을 이용해서, CI/CD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내가 구성한 CI/CD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설명하자면, 개발자가 Github 레포지토리 마스터 브랜치에 코드 푸쉬 혹은 풀 리퀘스트를 머지했을 때, Github Actions 가 정의된 워크플로우에 따라 CI/CD 작업을 진행한다.https://gurumee92.github.io/2020/11/%EC%A7%80%EB%A6%AC%EC%98%A4-%EC%84%9C%EB%B9%84%EC%8A%A4-%EA%B5%AC%EC%B6%95%EA%B8%B0-3-github-actions-slack%EC%9C%BC%EB%A1%9C-ci/cd-%EA%B5%AC%EC%B6%95%ED%95%98%EA%B8%B0/ Bumkeeygithub action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CD 구축Github access token은 ghcr(github container registry)로 docker image 배포하고 runner 실행 시 docker login에 사용된다. Github Access token 생성은 다음 이미지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생성된 token은 반드시 안전한 저장공간에 저장을 해야 한다. 페이지를 이탈하는 순간 생성된 token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Repository의 secrets에 등록을 해야만 해당 프로젝트의 workflow에서 사용할 수 있다.https://velog.io/@chrishan/github-actions-workflowGithub Actions, AWS CodeDeploy로 CI/CD 구축백엔드를 개발하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와는 별개로 서비스 배포에 대해 공부하면서 DevOps 관련 자료들을 많이 찾아보게 되었다. 평소에 DevOps에 대해 알아보면서 CI/CD의 이론적인 느낌들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프로젝트를 기회 삼아 직접 구현해보고자 했다. 배포 파이프라인은 아래와 같이 구상하였다.https://devwithpug.github.io/project/randhand-3-ci-cd-with-github-actions-and-aws-codedeploy/Docker10분만에 만드는 Docker image 저장 자동화 (feat. Github Action)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원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Docker image 를 build 하고 이를 docker hub 저장소에 push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보통은 이를 CI 로 구축하는데 CI 시스템을 따로 구축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들고 이를 유지보수 하기에도 귀찮은 면이 있다. 만약 Github 을 사용하고 있다면 10분 만에 Github Action 으로 이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https://devocean.sk.com/blog/techBoardDetail.do?ID=163350S3[스프링] AWS S3에 이미지 업로드 하기spring boot로 서비스를 구축할 때 반드시 구축해야 할 것이 정적 파일 업로더이다. 이번 포스팅에는 AWS S3와 연동하여 이미지를 업로드 해볼 것이다. AWS S3 bucket 생성 [AWS -> S3 -> 버킷 만들기]로 들어와 새로운 버킷을 만든다. 버킷을 만들 때, 권한을 수정한다. 권한을 수정하지 않고 파일을 업로드하면, 퍼블릭 액세스가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래의 403 에러가 발생한다.https://leveloper.tistory.com/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