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conventionCI/CDETCCode CoverageStatic AnalyzerCode conventionGoogleIntelliJ에 Google Java Style Guide 적용하기Google Java Style Guide는 구글에서 자바를 사용할 때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 읽는 사람의 편의성을 위해 양식을 통일해둔 것이다. https://google.github.io/styleguide/javaguide.html (구글 자바 스타일 가이드 링크) 이러한 양식은 IntelliJ에서 한번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https://github.com/google/styleguide 이 링크에서 intellij-java-google-style.xml 을 다운받고, File > Settings > Code Style로 들어간다 (ctrl + Alt+ s).https://velog.io/@injoon2019/IntelliJ%EC%97%90-Google-Java-Style-Guide-%EC%A0%81%EC%9A%A9%ED%95%98%EA%B8%B0CI/CDJenkinsJenkins 연동 방법Spring Boot #3 : Jenkins로 CI하기, Github Webhook 연동선행해야할것 Jenkins는 2편에서 만들었던 AWS EC2 CentOS서버에 설치하겠다. Jenkins와 OpenJDK 11을 설치하겠다. 먼저 터미널을 열고 서버에 접속한다.https://youngthugg.tistory.com/41?category=659506[Docker & Jenkins] 도커와 젠킨스를 활용한 Spring Boot CI/CD🥸요약 : 도커에 Jenkins 띄운 후 Build Now를 클릭해 Github에서 소스코드를 가져와 Spring Boot 프로젝트 빌드, Docker이미지로 생성해 배포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빌드,배포를 쉘 스크립트로 진행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브랜치 전략으로 Git-Flow를 선택하며 테스트를 위한 develop과 release에서는 자동 배포를, master에서는 수동 배포를 하기로 했습니다.https://velog.io/@hind_sight/Docker-Jenkins-%EB%8F%84%EC%BB%A4%EC%99%80-%EC%A0%A0%ED%82%A8%EC%8A%A4%EB%A5%BC-%ED%99%9C%EC%9A%A9%ED%95%9C-Spring-Boot-CICDETCCode CoverageJacoco코드 분석 도구 적용기 - 1편,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가 뭔가요?이 글은 우아한테크코스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인 직고래의 기술 블로그 에 함께 게시된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아한테크코스 2기, 셀러리 컴퍼니에서 직고래 를 개발하고 있는 스티치(이준영)입니다. 총 3편의 글로 작성될 계획이며, 이번 글에서는 코드 커버리지가 무엇인지, 그리고 저희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코드 커버리지 분석 도구를 적용할 것인지 에 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velog.io/@lxxjn0/%EC%BD%94%EB%93%9C-%EB%B6%84%EC%84%9D-%EB%8F%84%EA%B5%AC-%EC%A0%81%EC%9A%A9%EA%B8%B0-1%ED%8E%B8-%EC%BD%94%EB%93%9C-%EC%BB%A4%EB%B2%84%EB%A6%AC%EC%A7%80Code-Coverage%EA%B0%80-%EB%AD%94%EA%B0%80%EC%9A%94Static AnalyzerSonarQube소나큐브 이용 코드 정적분석 자동화코드 정적분석이라 함은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코드만의 형태에 대한 분석을 말한다. 이를테면 냄새나는 코드(?)라던지, 위험성이 있는 코드, 미리 정의된 규칙이나 코딩 표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말하는데 java 기준으로는 아래 다양한 (잘 알려진) 정적분석 도구들이 있다.https://taetaetae.github.io/2018/02/08/jenkins-sonar-github-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