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디자인
회고록📌
어려웠던 점, 느낀점, 고쳤으면 좋았을 점, 고쳐서 나아진 점 등등
승연
git을 활용한 협업이 처음이라 리베이스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팀원분들이 도와주셔서 오류를 잘 해결하고 빨리 익힐 수 있었습니다. 대학 시절에 이런 저런 팀플을 해봤지만 이렇게 한 분도 빠짐없이 잘하시고 열심히 하는 경우는 처음 봐서 개발 지식 뿐 아니라 일에 진심을 담는 태도를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모든 개인이 열심히 하는 팀을 정말 운좋게 만났지만 기본기와 경험이 부족해 협업을 하며 경험할 수 있는 어려움이나 깨달음보다는 제 몫의 일을 자잘하게 해결하는데 더 힘을 쓴 것 같아 아쉬움이 좀 듭니다. 개인 프로젝트로 실력과 경험치를 좀 더 쌓고 팀프로젝트에 임했다면 더 얻어가는게 많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에 이번 최강 화랑팀 팀원분들께 배운 많은 것을 데브코스 마지막 프로젝트에서 많이 써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열심히 다른 분들의 코드를 뜯어보도록 하겠읍니다…
화랑팀…못 잃어요..화랑팀 밖은 너무 춥습니다…
승범
어려웠던 점
프론트엔드끼리 협업을 하게 되면서 git을 여러모로 활용하게 된 것이 조금 어려웠던 점 같습니다. 특히 git rebase 진행간 충돌을 해결하는 사항이 좀 어려웠습니다 😵💫 그 다음 어려웠던 점은 docker, nginx 다루는 것 또한 쉽지 않았습니다. docker, nginx를 처음 실 사용 해보는 지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어려 웠던 점은 jenkins 였습니다… 특히 react build시 ec2가 버티지 못하고 터져버리는 문제등… jenkins를 하며 메모리 swap, node 메모리 증가등 여러가지를 알게는 되었으나 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들었습니다.
고쳤으면 좋았을 점
제 할일에 너무 급급했던것 같습니다.. 조금 더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다른 분들의 코드 리뷰를 적극적으로 해드렸어야 했는데 이점이 부족했습니다. 역시 마음이 급해지다 보니 클린 코드와는 코드가 거리가 있어지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이 점은 리팩토링으로 조금 더 신경을 써 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았던 점
첫째로는 팀원분들의 적극성과 열정입니다. 다들 너무 열심히 해주셔서 저도 자극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둘째는 소통이 적극적으로 카톡상으로 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슈를 빠르게 해결 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기획과 디자인을 너무 꼼꼼하게 잘 해주셔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훨씬 수월 했던 것 같습니다! 팀원 분들 감사합니다 🤗
용상
어려웠던 점
데브코스를 진행하기 전에는 풀, 푸시만 할 줄 아는 개발자였다면, 데브코스 과제를 제출하면서 브랜치를 잘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프로젝트를 통해 리베이스라는걸 배워서 어렵게만 느껴졌던 깃헙에 대해서 좀 더 잘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쳤으면 좋았을 점
개발하는 시간이 부족해서 코드리뷰에 시간을 많이 못 쓴점입니다. 다 같이 개발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라도 책임감을 가지고 코드리뷰를 하는 습관을 갖겠습니다.
고쳐서 나이진 점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역할별로 디렉토리를 잘 나눠서 개발해서 재사용을 통해 불필요한 코드를 줄였고, 개발하기 편했습니다.
피그마와 노션을 통해 개발 진행상황을 작성하고, 미리 설계를 하여 무엇을 구현할지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알고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지영
우선 모두 너무나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고, 큰 문제 없이 잘 마칠 수 있었던 프로젝트라 평생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기억 남겨주신 우리 화랑팀 분들, 멘토님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1. 어려웠던 점!
어려웠던 점이라 하면, 역시
Git
이었습니다.rebase
와 merge
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고 프로젝트를 시작했던 저는 Git rebase
작업을 이해하는 데 시간을 많이 썼던 것 같습니다. 충돌이 일어날까 무서워 함부로 Git
을 다루지 못했습니다. rebase
작업을 이해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데에 무려 하루나 소비했던 것 같습니다. 어려웠던 만큼 지금은 잘 이해했으니, 나중에 현업에 가서도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들끼리 어떻게 작업 단위를 나누고, 어떻게 작업을 이어나가는지에 대해 전혀 몰랐습니다. 따라서 팀원들과 컨벤션을 정하고 나서도 작업 중 망설였던 부분이 많았습니다.
2. 아쉬운 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내내 조급함을 가졌습니다. 2주는 부족한 것 같고, 내가 맡은 작업은 계속 밀리는 것 같아 제 스스로가 불안했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평생 고쳐나가야 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또한 제 작업에 바빠 코드 리뷰를 잘 남겨드리지 못했습니다.
코드 리뷰는 협업 과정에서 미리 이슈를 방지할 수 있고, 코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할일들 중 코드리뷰의 우선순위를 더 높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설계하고 구현한 컴포넌트들의 재사용성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더 공부해야겠습니다.
3. 좋았던 점!
- 소통 / 빠른 피드백 / 열쩡!
카카오톡과 노션을 통한 빠른 소통, 계속해서 개선해 나가려는 모습, 정말 열정적인 화랑팀 분들을 보며 많이 배웠습니다. 전부 너무 열심히 하셔서 저도 그 영향을 받아 열심히 한 것 같네요.
- React
사실 리엑트와 첫 만남 이었습니다. 강의 듣는데에 급급해서 리엑트 기초를 잘 쌓지 못한 상태로 프로젝트를 시작해 불안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하며 많이 찾아보고 공부하며 기초가 오히려 탄탄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 스크럼
학부생 때 정보처리 기사를 공부하며 카카오톡을 통해 충분한 소통이 이루어지는데 왜 스크럼이 필요하지? 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진행 상황 공유는 협업에서 생각보다 중요한 사항이었습니다. 아침 저녁마다 진행상황 공유 및 할일 배분으로 개발 일정을 맞추는 것은 프로젝트에 있어서 필수 요소라는 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