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With, We + Develop) - 스터디 + 운영 플랫폼
✏️기획 배경 및 동기
- 스터디를 어떻게 기획해야하는 지 잘모르고, 기획한 스터디의 인원을 모집하기 어렵다.
- 그리고 스터디 운영에 조금이라도 신경을 덜 쓰고 싶다
취업 준비를 위해 혹은 자기 계발을 위해 스터디를 기획해야하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떤식으로 스터디를 기획하는 지 보고 싶을 때가 있다.
그리고 스터디를 기획하고 스터디원을 모집해야할 때 이 스터디원이 신뢰할만 한 사람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스터디를 운영하면서 불참 확인권(하루 참석 패스)관리 패널티 관리(하루 불참시 5000원) 등 스터디 운영이 귀찮다.
🗒️스토리 보드(시나리오)
회원가입이 필수이며 반드시 실명인증이 되어야한다.
스터디 기획자
- 추천(Like)를 많이 받은 스터디 기획을 보고 스터디를 기획한다
- 스터디를 기획한다
- 한 주당 진행 일을 설정한다(예: 주 3일, 월 화 수)
- 불참시 패널티를 설정한다(예: 1일 5천원, 최대 1만원)
- 불참 인정 횟수(Pass권)을 설정한다(예: 월 2회)
- 모집 인원을 설정한다.(최대: 10명)
- 스터디를 운영한다
- 참가자를 모집한다. 기획자는 참가자의 평점을 확인할 수 있다
- 온라인 스터디인 경우 QR로 출석을 하거나, 사진으로 인증하여 출석한다
- 오프라인 스터디인 경우 위와 동일한 방식 + 비콘으로 출석한다
- 스터디 기획자의 현재까지 기획한 스터디는 공개되며 별점 등으로 평가된다.
스터디 참가자
- 본인이 참가하고 싶은 스터디를 찾아 참가 신청을 한다
- 스터디 기획자와 채팅을 통해 참석허가를 받는다
- 스터디 참가자는 열정온도와 별점으로 평가된다.
- 열정 온도와 별점은 스터디 참가자 본인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 기본 열정 온도는 36.5도 스터디를 완료한 경우 올라가고, 중간 하차한 경우 내려간다
- 별점은 완료한 스터디의 동료 평가.
- 스터디 참가자는 최대한 스터디에 참가한다
- 스터디에 불참한 경우 패널티 부여 OR 패스권 감소
- 패스권을 모두 소진한 경우 패널티(벌금)가 부여된다
- 벌금을 납부한 경우 기획자에게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 벌금을 1주일 동안 납부 하지 않은 경우 스터디에서 자동 탈퇴 당한다.
📚기능 구현(요구 리스트)
- 실명인증 가입제
- 네이버나 카카오 등 OAuth를 사용한다
- 휴대폰 번호 인증한다
- 스터디 평가 + 스터디원의 동료 평가
- 스터디 평가는 모든 사람이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동료 평가 기록은 참가 신청을 받은 기획자만 확인 가능하다
- 벌금 납부제
- 시나리오1
- 불참한 인원이 직접 계좌로 송금하고 벌금 확인 요청을 기획자에게 보낸다
- 기획자는 벌금 납부를 직접 확인하고 확인 요청에 응답한다
- 시나리오2
- 스터디 가입 후 일정 기간 마다 (1주 ~ 1달) 회비를 결제 받는다
- 기간이 완료되면 금액을 돌려 받는다
- 불참자는 불참 횟수 만큼 돌려 받지 못한다
- 중간에 스터디를 나가더라도 불참한 횟수가 없다면 납부 금액 그대로 돌려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