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테이블생성 어디서 할 것인가?테이블을 생성하고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통 JPA가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옵션을 사용한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자동 생성 옵션으로 테이블을 생성할 것인가? 아니면 쿼리문을 통해 직접 수동 생성할 것인가? 두가지 옵션 중 고민을 하게 된다. 편하게만 보이는 테이블 자동 생성이 운영 중이나 개발 중에 치명적인 오류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https://jobc.tistory.com/178JPA Entity Validation @Column(nullable=false)가 아닌 @NotNull을 써야한다고?JPA Entity Validation. 여러분은 어떻게 유효성 검사를 하고 계신가요? 이번에 인턴사원분들과 코드리뷰를 진행하다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저는 보통 유효성 검사를 할 때, @Column(nullable = false) 나 @NotNull 같은거 쓰면 되지 않나?하고 지냈습니다. 조금 찾아보니까 여러 블로그에서 @Column(nullable = false) 를 사용하지말고 @NotNull 을 써야한다고 나와있습니다.https://jeong-pro.tistory.com/233 [SpringBoot] Test(2) MockMvc를 이용해서 테스트하기(@WebMvcTest, @AutoConfigureMockMvc)Mock 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테스트를 위해 만든 모형'을 의미한다. - 테스트를 위해 실제 객체와 비슷한 모의 객체를 만드는 것을 모킹(Mocking)이라고 하며, 모킹한 객체를 메모리에서 얻어내는 과정을 목업(Mock-up)이라고 한다. - 객체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테스트 대상 객체가 메모리에 있어야 한다.하지만 생성하는 데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객체는 자주 테스트하기 어렵다.https://elevatingcodingclub.tistory.com/61MockMvc를 이용한 REST API의 Json Response 검증MockMvc를 이용하여 API의 Json Response를 JsonPath 표현식을 사용해 검증하는 예제를 정리하였습니다. 테스트 예제를 보기 앞서 테스트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간단히 서술 해보겠습니다. 의존성 추가 Spring Boot에 spring-boot-starter-test 의존성을 추가하여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WebMvcTest와 @MockBean을 이용한 테스트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스프링이 관리하는 모든 빈을 등록시켜서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무겁습니다.https://ykh6242.tistory.com/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