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어스 중간발표]
안녕하세요, 브루어스 팀장 최용재입니다. 기획서를 기반으로 서비스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소개]
브루어스는 모각코를 하기 좋은 카페를 공유하고, 모각코 인원을 모집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Brew는 커피를 마시는 분들에게 익숙한 단어일 것입니다. Brew는 “오랜 시간동안 맛이 우러나게 하다”라는 뜻입니다. 위 단어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개발하기 좋은 카페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간다는 의미에서 brew하는 사람들, Brewers 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
[기획배경, 기대효과]
브루어스 서비스의 기획배경 및 기대 효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는 노마드 개발자 및 카공족들을 위한 상시로 업데이트되는 카페 정보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기존 정보는 github이나 블로그에 정리되어 있지만 블로그 특성상 최신화가 되지 않습니다. 또 광고성 카페 리뷰로 검색을 통해 정확한 카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원격 근무 및 개발이 늘어나면서 개발자들과 카공족들이 카페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에 참여자들이 직접 정보를 관리해 나가는 커뮤니티를 기획했습니다.
본 서비스를 통해 광고를 최소화한 카공하기 좋은 카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모각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카공족이 직접 만들어 나가는 카공 정보 커뮤니티를 활성화하여 네트워킹 및 정보 공유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핵심기능]
브루어스의 핵심 기능은 2가지입니다. 첫번째는 검색입니다. 사용자는 검색 바에서 사용자 또는 포스트를 선택한 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검색은 검색 결과로 사용자 프로필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유저는 목록에서 바로 팔로우 안 한 계정을 팔로우 할 수 있고, 프로필 항목을 클릭하면 사용자 프로필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포스트 검색은 결과로 포스트 목록을 제공합니다. 포스트 목록에서 포스트를 클릭하여 개별 포스트 화면으로 이동하여 포스트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유저는 포스트 목록에서 바로 특정 포스트에 좋아요를 추가/제거하거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핵심 기능은 포스트입니다. 본 서비스는 총 3가지 포스트를 제공합니다. 일반 포스트, 리뷰 포스트, 모각코 모집 포스트이며 각 종류별로 포스트 작성 형식이 다르며 화면 상으로도 다른 위치에 그리거나 UI를 구분할 계획입니다.
보여드리는 보드는 브루어스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입니다. npm 패키지 매니저로 vite+react+ts 개발환경에서 비동기 통신을 위해 Axios, 스타일링 라이브러리로 Styled-Components, 상태관리로 Recoil, 디자인 시스템 개발 및 테스팅을 위해 Storybook을 사용합니다. 또한 StyleLint, Husky, LintStaged를 통해 코드 린팅을 자동화했습니다. 팀 협업은 Notion, Slack, Discord 기반으로 진행되며, 와이어프레임 및 Flow chart는 figma, 태스크 관리는 Github Projects 칸반보드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시퀀스 다이어그램 및 핵심 기능을 분석하여 페이지 및 기능별로 유저 스토리를 구성했습니다. 각 유저 스토리를 다시 분해하여 개별 태스크 리스트를 구성했습니다.
[개발 문화]
팀 개발 문화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깃헙 칸반보드를 통해 작업 중인 태스크 상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각 태스크는 하나의 Issue로 만들어지며 Issue번호를 기준으로 브랜치를 분기하여 구현을 합니다. 협업 방식은 깃랩 플로우를 이용합니다. develop 브랜치에서 feature 브랜치를 분기하여 구현 후 머지하며 마일스톤 단위별로 main 브랜치에 머지합니다.
또 효과적인 협업을 위해 프로젝트 컨벤션을 정했고 엄격하게 컨벤션을 준수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 일정 관리는 약 4~5일 단위의 스프린트로 분리하여 진행합니다. 각 스프린트마다 스프린트 목표를 정하고 태스크 리스트에서 각자 진행할 태스크를 회의합니다. 깃랩 플로우 특성상 지속적으로 remote에 push하고 PR을 통해 피드백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2명 이상의 멤버에게 리뷰가 approve되면 태스크 별로 머지합니다.
[진행상황]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진행상황입니다. 디자인 시스템 중심 개발을 목표로 하여 현재까지 재사용 컴포넌트 및 재사용 커스텀 훅 개발에 집중했습니다. 각각의 구현 사항은 스토리북에서 확인하며 진행하고 있고 남은 기간동안 컴포넌트를 배치하여 페이지 템플릿을 구현하고 페이지 로직을 주입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