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영
Keep
- 새로운 라이브러리의 사용법에대해 공부하고, 프로젝트 시작 전 해당 라이브러리의 테스트 버전을 만들어보며 처음 사용해보는 라이브러리에 대한 학습 방법을 알게됨
- 프로젝트 기획 혹은 진행 단계에서 어떤 내용들이 필요한지 알게된 점
- 준비 단계에서 이전 느낌적으로 사용하던 라이브러리를 제대로 학습하고 사용하기 시작한 점
- 꾸준히 회고글을 작성한점
Problem
- git에 대한 사용 방법이 아직 미숙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는 점
- 라이브러리의 지원 한계로 구현 못하는것인지 나의 능력 밖의 일인지 구분을 잘 하지 못하겠는 점
Try
- 리팩토링 단계에서의 코드 단축 및 정리
- 꾸준한 회고글 작성
- 작업의 모든 코드를 이해하고 넘어가기
최훈오
Keep
- 코드리뷰를 내 코드라 생각하고 꼼꼼히 진행함
- 배운 내용을 최대한 노션에 따로 정리
- 협업을 통해 Git을 다루는데 익숙해짐
- 서로 문제를 공유하고 같이 해결하는데에 긍정적인 마음을 가짐
- 각자 맡은 이슈를 완료하는 행위 외에도 프로젝트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행위를 한 것(API 모듈화 등등..)
Problem
- 자기객관화가 덜 되어서 기능 개발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불가능
- 변수명을 짓는데 큰 고민을 하지 않음
- 남이 보았을때도 가독성이 좋은 코드를 작성하지 않은 점
- 컴포넌트 작성시에 좀 더 재사용성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은 점
- 사용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에 대한 좀 더 깊은 공부를 하지 않은 점
Try
- 리팩토링 시에 후순위로 미뤄두었던 작업들 진행 및 클린코드에 대한 고민
- 좀 더 열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조금이라도 더 프로젝트에 시간 들이기
- 빠른 기능 개발도 중요하지만 최대한 컨벤션을 지키기
- 개발하는 시간 외에 공부하는 시간도 개발이라 생각하고, 절대 시간아깝다 생각하지 않고 꼼꼼히 이해하고 학습하는 태도 가지기
안정은
Keep
- 나에게 맞는 프로젝트 루틴을 찾아서 일정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 다른 분들의 코드를 이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킨 것
- git, zustand, styled-component에 보다 익숙해진 것
- 팀원들과 적극적으로 의견을 나눈 것
Problem
- 프로젝트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일정 관리를 잘 하지 못해서 무의미하게 보낸 하루가 많았던 것
- 몰랐던 개념을 익히거나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빠른 개발 속도를 위해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대부분 건너 뛰었던 것
- 우리 팀이 쓰는 기술 스택들 하나하나를 제대로 익힌다기 보다는 필요한 부분을 위주로만 익힌 것
Try
- 새롭게 알게된 지식은 대충이라도 노션에 기록하기
- react-router, react-query, axios의 주요 개념을 완벽히 내 것으로 만들기
신종욱
Keep
- git, react 등을 다루면서 익숙해진 것
- 다른 분들의 코드 리뷰를 통해 다른 분들의 장점과 새롭게 알게 되는 내용을 배우고 기록하는 것
- 코드 리뷰를 받으면서 좋은 방법을 제시받으면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서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본 것
- 이해가 가지 않은 것이나 궁금한 점은 이해가 갈때까지 물어본 것
Problem
- 코드 리뷰, 코드 구현, 리팩토링 등에 시간 분배를 잘못한 점
- 충분한 고민을 했는데도 해결하지 못했 을 때 바로바로 공유하지 않은 점
- PR 올리기 전에 전체적으로 코드를 한번 확인하고 올리지 않은 점
- 네이밍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고 만든 점
- 함수나 컴포넌트를 더 잘게 쪼갤 수 있음에도 쪼개지 않고 구현한 점
Try
- 한 번 만들때 잘 만들도록 노력하기
- 코드 한줄이라도 의미있게 짜보도록 노력하기
- 재사용성을 고려해서 만들어보기
- 고민을 시간내에 해결하지 못하면 바로바로 공유해보기
- 구현 외에도 공부 꾸준히 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