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내용
❓멘토님! 도메인 로직과 횡단 관심사를 분리해보라는 리뷰를 전 멘토님께 받았었는데 아무리 찾아도 뜻을 정확히 이해못하겠습니다...! 뭔가 감은 잡히는데 그 감이 때때로 틀리는 기분이에요. 혹시 멘토님께서 아시는 정보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도메인
- 도메인을 중요히 여기는 회사가 좋다는 말 → 현실적인 서비스(금융 서비스, 쇼핑몰) 를 중요시 여기는 회사가 좋다! 라고 말하는 것
- 비즈니스: 금융업을 우리가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내부 로직은 어떻게 될까?
- 코딩을 할 때 기술적인 부분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동작하는 걸 이해하고 만들어야 한다
- 횡단 관심사
- 횡단이 있으면 종단이 있다
- 두루두루 얇고 넓게 아는 것
- 내가 프로젝트를 하면 한가지를 깊게 파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를 해보기
- 신기술도 어떤 개념으로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9월달부터 팀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어떤 기술이 들어가야 포트폴리오로 좋은 프로젝트가 될까요?!
- 기술적으로 풀어내려고 하면 정말 기술쪽으로만 보고 가야 한다.
- NextJS
- 상태관리(Redux) - 그런데 현업에선 그렇게까지 많이 쓰지 않게 됨
- 조타이
- 리액트 쿼리
- 타입스크립트
- 멘토님께서 공유해주신 레포!
- i18n
- url 에 따라 다른 언어로 페이지를 보여주는 서비스(?)
- 국제화에 대한 단어 번역이 아직 안돼있다
- 디자인시스템 구축 경험
- 스토리북
- 특정 레포지토리 배포 경험
- 정해진 시간안에 우리 아웃풋을 낼 수 있어야 한다 → 정해진 기간 안에 완수하는 능력도 매우 중요하다
- 어떤 기능을 만들지도 맞춰봐야 한다!
❓스토리북을 사용하면서 ESLint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react/prop-types", "no-unused-vars" 이부분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지금은 설정에서 꺼두고 하고있습니다.
- ESLint 도 하나하나 디테일하게 설명 돼 있으니까 무작정 다운받기 보다는 직접 설정도 중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가 언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큰 규모에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멘토님은 recoil과 redux중에 어떤것을 선호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recoil 쪽을 더 선언한다. redux 는 요즘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
❓리액트가 함수형 컴포넌트를 밀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몰라도 괜찮은지,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좋은 상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것은 잘 하는 걸 못봤습니당
-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원리 이해 등은 필요하다
- 클래스형과 함수형의 차이점을 면접 질문으로 물어보기도 하신다고…
❓실제 현업에서 커스텀훅이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직접… 코드를 보여주심…
❓현업에서 useMemo와 useCallback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공부하면서 오~ 하기는 했는데 왠지 프로젝트 할 때 별로 안 쓰일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 잘 쓰면 좋지만 잘못쓰면 무한렌더링 등의 문제,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심해서 써야한다
❓현업에서 스토리북이 자주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팀 프로젝트 때도 스토리북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 이런 프로젝트에서 끝까지 스토리북을 잘 쓴 팀원을 잘 못봤다.
- 어쩔 수 없는 게, 이걸 잘 쓰려면 기획 디자인부터 잘 설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케이스마다 쓰는 경우를 다 약속이 되어 있어야 한다
- 주니어니까.. 스토리북까지 신경 쓰기엔 힘들다! 어쩔 수 X
- 그래도 한번 써보고 실패한 것도 경험으로 삼기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팀단위로 진행해본적이 없는데 팀 역할을 어떻게 나눠야할까요?
- (어쩔 수 없이) 페이지 단위로 역할을 나눠야 하지 않나
- 공통된 부분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도 있음
- 팀원들이 아쉬움이 남지 않게 최대한 골고루!
- 도메인을 이루는 크게크게 나눌 수 있는 부분들을 잘 나누자~
- 컴포넌트 의존성
- 완전히 의존성이 없도록 개발하기는 힘들다
- 컴포넌트를 만들 때 어떤 기능의 키워드를 벗어나서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건 필요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