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O
WaffleCard 레포 연동(sever, client)
슬랙 채널 연동
팀원 추가
에픽 설정
이슈 종류 설정
워크 플로우 설정
백로그 작성 및 에픽 지정
스프린트 기간 설정
사용법
step1. 에픽 설정 및 이슈 커스터마이징
에픽 설정
- 구현할 기능들의 큰 범주를 정하는 것 (이슈의 일종)
- 로드맵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에픽 진행 기간이 주, 월, 분기 기준으로 표로 나타남
- 한 에픽에 여러 이슈가 종속될 수 있다
- 백로그 이슈 만들 때 설정할 수도 있고
- 에픽 호버 시 나오는 +버튼으로 추가할 수도 있음
- 이슈들의 진행 상태에 따라 에픽 이름 밑 그래프의 색과 길이가 달라진다
- 에픽들 간 dependency(순서)를 걸 수 있다 (점을 잡고 연결)
- 그래프를 드래그하거나 줄여서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슈 커스터마이징
- 이슈의 종류를 정하는 것
- 주로 기능 개발, 버그, 리팩토링을 쓰지만 새롭게 추가할 수도 있다
- 프로젝트 설정 → 이슈 유형 → 이슈 유형 추가

step2. workflow 설정
- 이슈의 진행 단계를 정하는 것
- 기본은 todo - progressive - done인데 커스텀 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설정 → 이슈 유형 → 오른쪽 상단에 업무흐름 편집

- 레퍼런스

step3. 백로그 작성(이슈 생성)
- 백로그 메뉴 들어가서 이슈만들기 클릭 (또는 로드맵의 에픽을 클릭해서 추가)

- 이슈 간 관계를 설정하거나 하위이슈를 추가할 수 있다 - 하위이슈(수직?관계), 링크된 이슈(동등관계)
- *하위 이슈는 백로그에서 안보이기 때문에 잘 사용 안 했음
- 이슈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슈 유형 아이콘 누르면 됨)
- 에픽을 지정 할 수 있다 (그래그&드랍 또는 직접 설정)
- 이슈 코드 번호 누를 시 상세 화면으로 볼 수 있음

step4. 스프린트 생성
- 백로그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 스프린트 만들기 버튼 클릭

- 편집하기 클릭 후 이름, 기간(1~4주), 날짜, 목표 설정


step5. 스프린트 시작 및 이슈 분담
- 해당 스프린트에 할 이슈들을 백로그에서 스프린트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스프린트 시작 버튼을 누른다

- 이슈 진행 상태와 담당자 할당, 소요시간 설정 (안되어있으면 에픽 설정도) 외에 필요할 시 세부 설정 - 하위이슈, 링크 이슈, 체크리스트 생성 등등을 한다 *세부 설정은 이슈 클릭해서 할 수 있음

- 보드 그룹화 기준을 담당자로 설정하면 팀원 별로 보드가 분류된다
- commit메세지 작성 시 이슈 코드를 앞에 붙이면 이슈에 로그가 남고
(ex-
refactor:[WAF-5] 어쩌구 수정
)
- pr시작~머지하는 과정에서 이슈카드가 알아서 이동함 해당 진행 상황 위치로 이동함

step6. 스프린트 종료
- 지정한 기간이 지나면 스프린트 완료 버튼이 활성화 된다(안 지나도 할 수는 있음)

- 미해결 이슈를 다음 스프린트로 넘길 수 있음

설정법
슬랙-지라 연동
- 슬랙에 슬랙 알림으로 쓸 채널을 추가한다
- 슬랙에 jira클라우드를 설치한다 (왼쪽 하단 앱추가 클릭)

- 설치 후 지라 계정으로 로그인+연동을 설정 (창이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