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 프로젝트 기간에 좋았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마지막까지 기능 구현을 완성하였다.
- 사용자가 올린짤에 집중하기 위하여 버튼과 기타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할지, 버튼 모양과 크기는 어떻게 해야할지를 스스로 고민하고 이를 기존 서비스와 비교하여 참고하는 과정이 즐거웠다.
- 모든 결정 요소를 팀원들과 토의하여 결정하는것이 배우는 단계에서 도움이 되었다.
- css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눈을 뜨게 되어 더 아름다운 UI를 구현하고 싶다. → 다재다능 홍중
- 프로젝트로 팀원과 협업하는 과정을 즐긴다는것을 다시한번 느꼈다.
- 막히는 부분, 모르는 부분을 공유하고 해결하는것을 더 연습하고 있었는데 프로젝트 기간동안 정말 많은 연습이 되었고 그러한 과정이 자연스러워졌다.
Bad
- 프로젝트 기간에 아쉬웠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생각보다 한 기능에 오래 머무르게 되는적이 있었다.
- 뒤로 갈수록 문서화가 부족하였다.
- 어쩔 수 없었지만 마감기한에는 코드리뷰 없이 머지한 경우가 많았다.
[KPT 회고란]
Keep
- 좋았던 점 중에서 다음에도 유지하고 싶은 것들을 적어주세요.
- 디스코드에 상주하면서 서로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성장에 도움이 된다.
- 스크럼후에 1시간 동안 코드리뷰를 하여서 팀원끼리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Problem
- 아쉬웠던 점에서 실제로 문제로 발생했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UI흐름도를 미리 그리고 시작하려하였으나 오히려 복잡한 흐름도가 나와서 다시 봐도 파악하기 힘들것이라고 파악하여 따로 진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러다보니 세세하게 페이지 이동을 해야하는 부분을 놓치거나 모달을 띄울때 어떤식으로 할지 등 더 구체적으로 정하지 못하고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 base컴포넌트, atomic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기능 구현을 하면서 css작업을 하였다. 이후 css가 크게 변경될 경우에는 오히려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Try
- Keep 사항 중에서 한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시도해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Problem 사항 중에서 문제를 예방하기위해 시도해 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figma prototype기능을 활용하여 UI흐름을 파악하면서 개발전에 최대한 상의한다.
- 크게 레이아웃 > 기능 > css 순으로 진행한다. base컴포넌트에 해당하는것은 팀원과 breakpoint등을 충분히 정하고 개발을 들어가야 의미가 있다.
- css에 대한 부족과 동시에 재미가 더 붙어서 다음 프로젝트 이전에 개인적인 실습을 합니다. 프로젝트시에는 반응형시에 css적인 처리를 어떻게 할지 구현 전에 미리 고민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겨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