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가 html을 화면에 그리는 과정 알려줘
브라우저가 HTML을 화면에 그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싱(Parsing):
-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읽어들이고 구문 분석을 수행합니다.
- HTML 태그와 속성을 인식하고 문서의 구조를 이해합니다.
-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 생성:
- 파싱된 HTML 요소들을 트리 구조로 표현합니다.
- 각 HTML 요소는 DOM 노드로 구성되며, 부모-자식 관계를 가집니다.
- CSSOM(CSS Object Model) 생성:
- 동시에 브라우저는 CSS 파일을 파싱하여 CSSOM을 생성합니다.
- CSSOM은 CSS 규칙과 선택자를 트리 구조로 표현합니다.
- 레이아웃 계산:
- DOM 노드와 CSSOM 정보를 사용하여 각 요소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합니다.
- 이를 통해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결정합니다.
- 렌더링:
- 레이아웃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DOM 요소를 화면에 그립니다.
- 이미지, 폰트, 기타 리소스를 로드하고 화면에 표시합니다.
- 페인팅:
- 렌더링된 요소를 실제 픽셀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 이 과정에서 브라우저 엔진은 최적화된 방식으로 화면을 그립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브라우저는 HTML, CSS, 리소스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웹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지만, 브라우저는 효율적으로 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원활한 웹 경험을 제공합니다.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반응합니다:
- 이벤트 감지:
-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감지합니다.
- 이벤트가 발생한 DOM 요소(버튼)를 찾아냅니다.
- 이벤트 전파:
- 이벤트는 DOM 트리를 통해 상위 요소로 전파됩니다.
- 버블링 단계에서는 버튼에서 시작된 이벤트가 상위 요소로 올라갑니다.
- 캡처링 단계에서는 상위 요소에서 하위 요소로 이벤트가 내려갑니다.
- 이벤트 핸들러 실행:
- 버튼 요소나 상위 요소에 등록된 이벤트 핸들러 함수가 실행됩니다.
- 이벤트 객체가 핸들러 함수에 전달되어 이벤트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동작 수행:
- 버튼 요소의 기본 동작(form 제출, 페이지 이동 등)이 수행됩니다.
- 이벤트 핸들러 함수에서
preventDefault()
를 호출하면 기본 동작이 취소됩니다.
- 추가 처리:
- 이벤트 핸들러 함수에서 추가적인 로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DOM 조작, 데이터 처리, 애니메이션 실행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버튼 클릭 이벤트가 브라우저에서 처리됩니다. 개발자는 이벤트 핸들러 함수를 통해 버튼 클릭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ssr이 아니면 seo를 챙길 수 없어?
네, 그렇지는 않습니다. SSR(Server-Side Rendering)이 아니더라도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효과적으로 챙길 수 있습니다.
SSR은 웹페이지를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검색 엔진 봇이 쉽게 웹페이지의 내용을 크롤링할 수 있어 SEO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SSR이 아니더라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SEO를 잘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 렌더링(CSR, Client-Side Rendering):
- JavaScript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렌더링하는 경우에도,
- 적절한 SEO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면 검색 엔진 봇이 콘텐츠를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동적으로 생성된 페이지의 초기 HTML을 서버에서 제공하거나,
- 프리렌더링(Pre-rendering) 기술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정적 사이트 생성(SSG, Static Site Generation):
- 빌드 시점에 HTML 파일을 미리 생성하는 방식으로,
- 검색 엔진 봇이 콘텐츠를 쉽게 크롤링할 수 있습니다.
- 정적 페이지의 성능이 뛰어나고, SEO에도 유리합니다.
- 적절한 SEO 최적화:
- 메타 태그, 구조화된 데이터, 이미지 최적화 등의 SEO 기법을 적용하면,
- SSR이 아닌 경우에도 검색 엔진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SSR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SEO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검색 엔진 봇이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스코프란
- 정의
특정 장소에 변수를 저장하고 나중에 그 변수를 찾는데 잘 정의된 규칙이 스코프임. 대상 변수를 현재 스코프에서 발견하지 못하면 엔진은 다음 바깥의 스코프로 넘어가는 식의 변수를 찾거나 글로벌 스코프라 부르는 가장 바깥 스코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함. 최상위층(글로벌 스코프)에 도달했을 때 찾던 것을 발견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어쨌든 검색은 거기서 중단한다.
렉시컬 스코프는 렉싱 타임에 정의되는 스코프다. 또는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할 때 함수를 어디에 선언하는지에 따라 정의되는 스코프를 말한다. 다른 말로 정적 스코프라고 하는데 js에선 정적 스코프밖에 없어서 스코프가 곧 렉시컬 스코프라 해도 된다. 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동적 스코프가 있다.
- 필요한 이유
임의 부분을 함수 선언문으로 감싸면 해당 코드 주위에 새로운 스코프 버블이 생성된다. 이 버블이 변수와 함수를 숨기는데 왜 숨기는 게 좋을까? 바로 소프트웨어 디자인 원칙인
최소 권한의 원칙
과 관련있다. 이 원칙은 설계 시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남기고 나머지는 숨겨야 한다는 것이다.- 블록 스코프 vs 함수 스코프
- 블록은 자신을 포함한 그 하위 자식까지, 함수는 함수 스코프까지
- const, let은 블록 스코프, var는 함수 스코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