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 어떻게
나온 주제
dto & entity
- entity에 왜 setter를 사용하지 말아야하며, 그에 대한 해결책은? → 빌더 사용
기본 생성자의 접근 제어자(protected vs private),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 기본적으로 2가지 다 무분별한 객체 생성을 막기 위함
- why? protected? → privite은 Jpa에서 proxy 생성 불가
try with resource → 자동 반환 굿
properties, yaml 을 같이 사용했을 때의 호출순서,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과application.yaml
파일을 프로젝트에 동시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application.properties가 나중에 로드되어 이미 할당된 값을 재 정의할 수 있기 때문
resource 의 이해
@Qualifier vs @Profile
생성자 의존성 주입을 사용해야하는 이유
- Setter, Field Injection 단점 (Null pointer exception 발생, 순환참조)
- 생성자 주입을 사용할 경우 final을 사용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장점
@Qualifier
- 오타를 컴파일 오류로 잡아내기 쉽지 않음 → 따로 어노테이션을 생성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