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Layer1 and Layer2 Wifi basics (802.11 프로토콜 = 무선랜, 와이파이라고 불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술)
ARP란?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데이터 통신을 위해 2계층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와 3계층 논리적 IP 주소 두개가 사용됨. IP주소 체계는 물리적 MAC 주소와 전혀 연관성이 없으므로 두 개의 주소를 연계시켜 주기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ARP임
- 호스트에서 아무 통신이 없다가 처음 통신을 시도하면 패킷을 바로 캡슐화 할 수 없음.
- 통신 시도 시,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는 미리 알고 있어 캡슐화에 문제가 없지만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 수 없어 2계층 캡슐화 수행이 불가능함
-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려면 ARP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해 네트워크 전체에 상대방의 MAC 주소를 질의해야 함
- ARP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목적지는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하고 그 후, 패킷이 정상적으로 인캡슐레이션되어 상대방에게 전달 가능함
ARP 동작(2계층 프로토콜)
- 2계층 프로토콜이므로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됨!
ARP 브로드캐스트는 원격지 네트워크로 보낼 수 없다!
브로드캐스트 자체가 네트워크를 넘어 전달이 불가능 함
- 저 멀리 있는 원격지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라우팅..?? 이 필요함 - 수정필요
- 여러 가지 필드 중 ARP 데이터에 사용되는 송신자 하드웨어 MAC 주소, 송신자 IP 프로토콜 주소, 대상자 MAC 주소, 대상자 IP 프로토콜 주소 4개의 필드가 중요하게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