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티 질문
멘토님께 하고 싶은 질문 (기술, 개인적인 질문을 올려주세요. ex - 멘토님의 최애 음식은 무엇인가요?)
멘토님 답변
커피챗 정리
고현주 멘토님 소개

웹 프로젝트 개발자로 근무 시작하여 이후 프론트엔드로 전향하였습니다.
현재 6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현재 코오롱 계열사 회사에서 코오롱몰, 의류 브랜드 프론트엔드 개발((이커머스 관련 운영/유지보수))을 맡으시는중 입니다.
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킬
코오롱 계열사가 보수적인 회사이다 보니 업무할 때 vpn 내부망을 통해
Gitlab
을 사용합니다.내부망이 상관없는 계열사는
Github
을 사용합니다.현재
React
, Nextjs
, Apollo Client
, GraphQL
등 을 주로 사용하십니다.아사나를 통해 태스크 관리를 하십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리포지토리 방식
코오롱 몰 같은 경우 프론트를 담당하는 리포지토리가 있다.
한 리포지토리를 배포하는 방식에 따라서 개별 브랜드 사이트로 배포하게 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 리포지토리에서 config 파일을 가지고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한다.
모노리포 방식을 사용할 땐 완전 개별적인 리포들을 하나의 모노리포로 묶어 사용하였다.
미리 체크하면 좋을 것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프로젝트에서 가지고 갈 코드 레벨과 기본적인 규칙을 정하면 좋을 것 같다.
- eslint, prettier 등
- 팀마다 방식이 달랐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체크해 주는 것이 좋다.
플래닝 포커(Planning Poker) 활용해 보기
MVP 보다 더 구체적으로 플래닝 포커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항목이 있으면 일정을 미리 예측해 보는 방법 (선정 이유를 들어본다.)
- ex)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기
- 멘토님 - 1일
- 소셜 로그인 구현까지 생각했다.
- 구글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구글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 재영님 - 2일
- 로그인이라면 회원가입까지 생각하는 게 좋을 것 같다.
- 약관에 관한 내용들도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 같다.
- 승현님 - 0.5일
- 간단한 이메일, 비밀번호를 통한 로그인 구현이면 충분할 것 같다.
QnA
재웅님 - 리포 하나에서 8~9개를 다 배포하신다고 하셨는데, 좀 디테일한 진행 과정이라고 해야 할까요 어떻게 이루어나요??
멘토님 - 하나의
config
파일에 각 브랜드 파일의 설정값들을 넣어놓고 Package.json
파일에서 yarn dev
, build
를 할 때 어떤 config
파일을 할지 설정해 준다.예를 들어, b라는 브랜드를 본다면, 해당 브랜드(b)의 config 파일을 참조하고 브랜드(b)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사이트를 배포하게 됨, 실질적인 설정값이 있으면 api 통신을 통해 브랜드(b)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불러오게 됨 (실제 데이터는 설정 파일에 있는 데이터만(브랜드(b)) 불러옴)
멘토님 - 디자인은 재웅님 혼자 맡아서 진행해 주시는 건가요??!
재영님 - 책임자를 정한 이유는 모두 함께하지만 의견이 너무 갈리거나 결정에 대한 시간 소비가 너무 심할 때 우선순위를 드리자는 목적에서 정하게 되었다.
멘토님 - 문서화는 노션으로 진행해 주시는 건가요 ??
승현님 - 문서화는 노션과 슬랙을 통해서 진행할 것 같다. (멘토님께서 노션, 프로젝트 레포 올려주시면 틈틈이 확인해 보시다고 했습니다.)
멘토님 - 스프린트로 하는 건지, 데일리 스크럼을 통해서 하는 건지 정해진 게 있나요?
재영님 - 현재 기획 단계에서는 데일리로 만나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오전에 만나서 데일리로 진행되지 않을까?” 라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다. 이러한 부분도 프론트끼리 회의해서 정해보면 좋을 것 같다.
멘토님 - 중간마다 체크하는 기간이 있는 걸로 아는데, 최종 발표, 중간보고에서 수월할 것 같아서 비슷하게나마 스프린트 단위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재웅님 - 프로젝트 기간이 2달 정도 남은 상태, 기획 빼면 온전한 개발 기간은 1달 안팎으로 될 것 같은데, 여기서 스프린트 단위를 정한다면 어느 정도가 적절할까요?
멘토님 - 팀에서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 같은데, 1~2주가 좋을 것 같다. 개발 기간이 1달이라면 1주가 적당하지만 실제 개발만 1달이 아니라 기획, Qa도 하기 때문에 2주 나을 것 같고, 데일리 싱크로 병행하고 데일리 싱크로 잘되지 않으면 1주일 단위가 괜찮을 것 같다.
1주일 단위가 너무 잦아서 잦은 공유 때문에 힘들어진다면 2주로 늘리는 방법을 추천한다.
재영님 - 모노리포 방식만 알고 있어서 멘토님 회사에서 진행하는 배포 방법이랑 모노리포와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장단점)
이 부분을 잘 못먹어서.. 아시는분 계실까요?? ㅠㅠ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라 정리 안되게 적다보니 제가 적고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