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T 회고
Keep
- 동운님
- 지라와 깃의 연계가 이제 익숙해짐
- 병연님
- 비동기 소통 (지라, 슬랙) 점점 개선되었음.
- 형욱님
- 지라 멘션을 통한 비동기 소통이 지난 스프린트보다 더 잘 진행된 것 같다 . . .?
- 진형님
- 지라 위주로 소통하는 것 굳
- 혜빈님
- 팀원들이 각자의 생각을 잘 말해줘서 여러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점이 좋았다.
Problem
- 동운님
- 프론트 CSS가 빡셈
- 병연님
- UI 개발 링크가 안걸려있음
- UI 개발이 전반적으로 느림
- 리팩터링은 UI 개발 후에 가져가야 할 것 같다 벌써 1자리숫자라서
- 소나린트로 코드 냄새도 제거해야 함으로써 UI에 좀더 많이 관심을 쏟아야 함
- 버그들도 UI에서 발견되는 것들이 많음
- UI 개발하면서 안 구현된 기능도 있지만 다른 기능도 갑자기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 develp 머지하면서 각자 local에서 테스트 코드 한번씩 체크해야 할 것 같음(중간 중간 머지 된 것들 포함해 원인 추적이 어려워 질 수 있음)
- 형욱님
- 스프린트 기간을 하루 늘렸지만 진행률이 크게 개선된 부분이 없었다 . . .?
- 개인적으로 리팩토링 하는 시간이 꽤 길었던 것 같다.
- 진형님
- 진행 상황 체크가 어렵다? 어디까지 개발됐는지 개인적으로 파악이 안됨..
- 기능 요청 사항이 누락되는 것 같다 (기억력issue)
- 혜빈님
- (개인적으로) 중간에 목표를 바꿔버려서 혼란이 있었다.
Try
- 동운님
- 멘토님 말씀대로 프론트 내용만 때려박고 리팩토링과 기술 스터디에 집중을 해야 될듯
- 병연님
- 백엔드 기능은 얼추 완성된 것 같으니! UI 담당자들이 개발하면서 필요한 기능들 리스트 업해서 맨션하고 상대방은 그것을 hot fix 처럼 가져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형욱님
- 백엔드 개발에 더 많은 힘을 쏟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 스프린트 기간을 다시한번 고려해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 진형님
- 남은 시간이 얼마 없는 만큼 짧은 단위로 진행상황을 체크하자
- 기능 구현 요청이 필요하다면 티켓을 우선 만들고 (XX기능 구현) 보고자(요청하는사람), 담당자(구현해야할 사람), 멘션 자세한 요청사항을 댓글로 남기는건 어떨까요?
- 지라를 더 지라답게 사용하자 (버그 발생, 모든 이슈 티켓을 마구마구 만들자)
- 혜빈님
- 남은 일정을 더 계획적으로 가져갔으면 좋겠습니다. → 진행상황을 더 자주 얘기를 나눠봐야겠습니다.
이야기 해보면 좋을 내용
- 기술 스터디 - 로깅 추가
- 페이징 적용
- 각 프론트 마무리 일정
- 메인 페이지
- 게시글 작성
- 개인 페이지
멘토님 말씀
- 기술 스펙 확장 이전에 기본을 신경쓰기
- 후에 백그라인드 처리 기능 추가 요망 예정
- 로깅 처리는 잘 하고 있는지?
- 인프라 영역으로 함께 해야 된다.
- 이미지 처리
- Aws-S3 의 경우 해당 파일의 url 그대로 노출하면 안됨! → 되는 것부터 확인을 위해 보안은 나중에
- 기술 스터디 진행 상황은?
- 커서방식 페이지 / criteria 쿼리 적용은 꼭 해봤으면 좋겟다.(억지로라도)
- 문서화, 그림 등 더 작성을 잘하자.
- 기능을 확장하지 말고 현재 진행된 부분을 더 보완하고 안전성있게 리팩토링을 하고 확장해 나가자.
- 소나큐브와 jacoco는 필수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