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ext vs react
- 기범 : react를 다지고 싶은데, 기획단계에서 next의 필요성이 느껴지면 next 써도 됨
- 영준: next, 2차팀때 리액트를 사용했는데 최종때도 리액트를 사용하면 2차 프로젝트때 했던 작업들을 똑같이 동일한 작업을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next라는 새로운 도전을 해보고 싶다!
대신 그냥 쓰는게 아니라 라우터 처리나 렌더링 처리의 이점을 가져간다거나..? SSR을 해본다거나 에 목표의식을 두고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 승희: next 경험이 없어서 해보고 싶긴 한데 next를 쓰려면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할 것 같음(영준님 의견에 매우매우 공감 & 동의)
멘토님 의견 여쭤보기
기획 단계까지 결정 보류
react-query도 같이 논의하기
2. 전역상태관리
- 기범: zustand 사용해보고 싶습니다. recoil이 더이상 업데이트를 안한다는 소문을 들어서.. (여담, 근데 전 프로젝트에서 zustand를 쓸일이 거의 없어서 그냥 억지로 쓴 느낌이 있는데 꼭 써야할까? 에 대한 생각도 기획단계에서 필요합니다)
- 영준: recoil을 많이 써봐서 다른 걸 써보고 싶은 느낌…
- 승희: redux만 써봐서 다른걸 경험해 보고 싶어요
기획 단계에서 전역 상태가 필요하다면 zustand
3. CSS
- 기범: scss, tailwind(찍먹만 해봄), css in js 모두 가능은한데 css in js는 next와 호환이 좋지않고 scss는 storybook과 호환이 좋지않다는 점 참고
- 영준: tailwind는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서 emotion을 선호하는 편입니당 → 컴포넌트 구조를 파악하기 쉬워서??
- 승희: emotion(styled), styled-component, tailwind 순으로 선호
Next -> 서버 컴포넌트,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따로 있음 기본적으로 서버컴포넌트, css in js는 서버 컴포넌트에 적용이 되지 않음(css 모듈을 쓰거나 따로 스타일을 정의해야 함)
멘토님 의견 여쭤보기
4. TS 사용여부
- 기범: 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
- 영준: 무조건 O
- 승희: 🆗
5. storybook 사용여부
- 기범: 컴포넌트 단위로 관리하기가 편리해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scss를 사용하게 될 시 mixin 문법이 먹히지 않음
- 영준: 사용을 하면 좋을 것 같긴한데 시간이 조금.. 많이 소요될 것 같기도 해서 흠…
- 승희: 🆗 리소스가 많이 들지 않는 선에서
next 쓰면 scss or tailwind 쓸텐데 둘 다 storybook과 호환이 좋지 않음
일단 사용하지 않고, 추후 필요성을 느끼면 다시 논의
6. 빌드툴 webpack, vite, parcel 등 (next 쓰면 고려 안해도 될것)
- 기범: react로 하게된다면 vite 선호합니다
- 영준: vite 정말 빠릅니다. 굳..
- 승희: vite 좋아요
next 안쓰면 vite
7. 배포환경
- 기범: vercel, netlify 둘다 괜찮습니다. next하면 vercel이 괜찮을거같네요
- 영준: vercel - next에서 만들었다고 알고 있는데 next를 사용하면 호환성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승희: vercel, aws 경험 있음 next → vercel 동의해요!
ver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