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1
- 1. 쿠키와 세션에 대해 간단히 설명
- 답변
- 둘다 클라이언트 저장소
-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 세션은 서버에 저장
- 쿠키는 서버부담적은 장점, 보안약한 단점
- 피드백
- 외운 듯이 줄줄줄 물어보지 않은 것 까지 대답
- 잘 이해하지 못함. 세션Id 맞는지 의문?
- (흐름빠르다면 색으로 표현) this는 ~~, ~~, ~~ 이다.
말이너무 빠르다고 생각
- 질문1
- 답변
- 피드백
브라우저 저장소
- 세션 http 동작 과정
- 잘 모르겠다.
-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전달
- 세션은 서버에서 동작
- ~로 알고있다. → 조금 더 자신감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모달창 구현 방법
- 쿠키 → 기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 쿠키에 너무 불필요한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질문에 대해서 잘 답변했습니다.
- 로컬/세션 스토리지 차이점
- 키 값 형식으로 저장되는 형식은 같지만, 세션 스토리지는 브라우저가 닫히면 삭제됨
- 로컬/세션을 이용하여 서비스한 경험
- 로그인 유지 기능 → flag, 로컬에 저장, 비밀번호는 저장하지 않고 아이디로만 구현한다.
- 창의적인 답변이었던 것 같습니다.
XSS 공격
두개 이상의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여 데이터 탈취를 시도한다.
- 이를 막기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진 못했음 → 너무 깊은 질문
Promise
- 성공시 resolve, then → response 처리
- 오류처리는 reject → 콘솔창에 에러를 찍거나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으로 사용
async/await
- 프로미스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 비동기 함수 호출문 앞에 await를 준다. → 해당 비동기 요청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가 response 받음
- 질문 캐치를 잘 하셨습니다.
스택
- 스택 구현 방법
- 스택에 대한 설명, 배열을 이용한다고 하였음,
- 큐 구현 방법
- 배열 사용시 앞에서부터 데이터가 나간다. 배열의 자료구조상 O(n)의 시간복잡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비용이 크다
- 앞으로 말할 내용을 생각하면서 말해봅시다!
실행컨텍스트
- 실행컨텍스트란? [좀 더 공부필요]
- 단어 그대로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단위 → 부연 설명 good
- 너무 외워서 말하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 저도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 꼬리 질문을 차단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부연설명을 많이 하시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차라리 어느정도 꼬리 질문을 유도하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This
- 다른 언어와 차이점
- 호출 방식에 따른 방식
- 일반 함수 호출시 전역 this
- 객체 내부에서 호출시 this → 자기 자신을 가리킴
- 자기 경험과 함께 잘 설명했습니다. → good!
이벤트루프
- 이벤트루프 동작 과정
- 답변 부족 → 더 공부 해봅시다.
전체적인 피드백
직관성 - 무슨 말을 하려는지 빠르게 이해(good), 말하려는 바를 꼬리질문을 통해 이해 (bad)
구체성 - 묻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good), 묻는 개념의 일부만을 이야기함 (bad)
정확성 - 올바른 개념에 대해 이야기 (good), 잘못된 정보, 여러 개념을 혼합하여 이야기함 (bad)
태도 및 자세 - 말하는 속도, 강약조절, 자신감, 몸짓의 변화가 적절하다 (good)
- 기본적으로 설명은 잘 하시지만 외워서 말하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