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가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흥미롭게 보고 있습니다.
- 노션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칸반보드로 정리해서 역할이 명확해보여 좋습니다.
- 기능과 목표가 명확해서 좋습니다
- 실무와 비슷하게 사용해보려고 하는 모습들이 보여 좋습니다.
- develop 브랜치 최신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보입니다.
- 가장 바쁘게 PR이 이루어지고 머지가 되고 업데이트가 되어야 합니다.
- 만약 한 사람이 너무 많이 feat을 처리한 후 PR을 올리게 되면 conflict 생길 확률이 많아집니다.
- 11월 3일이 마지막이기 때문에 최소 1일 오후나 2일 오전까지는 개발을 완료하고 마무리 발표를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 아직 들어가지 못했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태스크들은 과감하게 정리해주세요
- validation
- 사용자가 순서대로 입력하지 않고 진행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 지금 단계에서는 완벽하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획단계에서 결정하는 내용입니다. 보통은 UI로 막거나(input disabled 나 pointer-events를 none 과 같이 주는 방식), 입력하지 않으면 UI렌더링 자체를 막을수도 있습니다.
- 컴포넌트 추상화
- 컴포넌트 재사용성을 위해 추상화를 어느 정도까지 진행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지금은 일단 기능을 구현해 집중해보세요. 후에 이 컴포넌트를 동일한 페이지나 다른 컴포넌트에 쓰려고 한다면 어떻게 하는게 편한지 생각해보세요.
- 스토리북 주도 개발이 잘 안되고 있어요
→ 스토리북은 디자인 시스템이 있는 회사에서 문서화를 하기에 좋은 툴입니다.
→ 지금 단계에서는 기능을 써봤다 정도에 만족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리아 피드백
발표 영상
- 중간 발표 시작하기 전 가벼운 인사를 남기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플레이타임이 짧았기에 어떤 분이 발표를 진행하시고, 몇 팀인지 넣기에는 부담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동현님이 마우스 포인터를 적절히 잘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PPT 형태로 발표하지 않는다면(한 장, 한 장 내용이 포커싱 되지 않는다면) 포인터를 사용하는 것도 굉장히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전반적으로 톤이 좋아요! 발표하기에 좋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요.
- 배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그마로 시연 영상을 찍은 건 정말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디자인은 물론 유저 플로우까지 한 번에 볼 수 있었어요.
- 위에 요한님이 말씀해 주신 것처럼 실무와 비슷한 경험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좋았어요!
- 아쉬웠던 점은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진척도를 살펴보기 어려웠어요. 중간 점검 필수 영역이었던 만큼 다음에는 어떤 것으로 구성할까 한번 더 검토해보면 좋을 거 같아요~ 🙂
회고록
- 한 명의 낙오자도 없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이 팀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좋았던 점을 정성적인 면 외에도 함께 이야기 나누면 좋을 거 같아요. 그럼 어떤 것을 유지하고, 어떤 것을 변경할지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거 같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