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Open System InterConnection)통신이란?OSI 7/6/5 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OSI 4/3/2/1/ 정보를 전송하는 행위응용계층표현계층세션계층전송계층TCP - 등기우편(신뢰성)UDP - 일반우편(효율성)네트워크 계층데이터링크 계층물리계층
OSI 7계층(Open System InterConnection)
통신이란?
- 통 : 잇다, 연결하다 / 신 : 편지, 믿음 >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행위 !
OSI 7/6/5 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OSI 4/3/2/1/ 정보를 전송하는 행위
응용계층
- 매체에 따라 통신 규정과 방법은 다르다.
- ex) 안부 연락을 할 경우 전화, 카톡, 메시지 등 다양한 매체가 존재하고 그 매체에 따라 통신 규정과 방법이 다르다 ! > 즉 응용계층은 응용 프로그램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과 규약을 결정 파일은 ftp / 문서 http / 메일 smtp
표현계층
- 매체에 따라 통신 규정과 방법은 다르다.
- ex) 안부 연락을 보내는데 상대가 다른 국적이라면?
- 변환, 암호화, 압축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 즉 표현계층은 프로그램들의 표현을 표준화 해주는 과정을 말한다.
세션계층
- 세션은 한국말로 회의를 뜻한다. 회의에는 사회자가 필요하다.
- 사회자는 회의 방법을 정하며 원활한 진행을 담당하기도 한다.
- 세션계층은 이처럼 사회자 역할을 하게된다.
- 세션계층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 데이터를 먼저 전송한 후에 다시 응답을 받아오는 방식이 존재하며, 데이터를 동시에 주고받는 방식도 존재한다.
- 또한 데이터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기도 한다.
- 통신의 시작을 알리기도 하며 잠시 중지를 할 수 도 있고 종료 등을 알리며 진행 상태를 알리게 된다.
- 즉 세션계층은 통신의 연결과 진행방법을 담당하게 된다.
전송계층
- 우리가 어떤 물건을 전달하려고 할때 직접 전달하는건 매우 번거롭다.
-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체국처럼 믿고 맡길 수 있는 서비스에 양도하게 된다.
- 우리는 직접 전송에대한 책임을 지지도 않으며 신뢰성 있는 곳에 위임했기 때문에 골치아픈 일을 피할 수 있다.
- 즉 전송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담당한다.
TCP - 등기우편(신뢰성)
- 집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부터 한 후에 수신자가 있다면 편지를 보내는 방식이다 !
- tcp도 똑같이 연결 상태를 확인 후 연결이 된다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
UDP - 일반우편(효율성)
- 집에 수신자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전에 보내고 본다.
네트워크 계층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담당하게 된다.
- 해외 배송을 하려고 한다면?
- 미국의 국가 주소와 미국의 지역 주소가 필요하다.
- 네트워크 계층 이러한 문제를 ip주소를 이용해 해결한다.
- 192.168.1 > 네트워크의 위치를 알려주는 어드레스 부분 / 네트워크 내부에 호스트 위치를 알려주는 호스트 어드레스로 이루어져 있기에
-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 하지만 네트워크는 되게 크기때문에 너무 방대하다.
- 네트워크도 조금 더 작은 네트워크 즉 서브넷으로 나눠서 관리한다.
- 데이터를 전송할때는 멀리 돌아가는 것보다 최대한 짧은 경로로 전송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라우터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매순간 최적의 경로를 찾게 도와주며 이러한 작업을 라우팅 이라고 한다.
- 즉 네트워크 계층은 네트워크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ip,서브넷,라우팅 같은 작업을 진행한다.
데이터링크 계층
-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네트워크 장비 끼리의 초점을 둔 계층이다.
- 검문소 / 교통 경찰 역할과 비슷하다.
- Lan 카드 > Mac 주소라는 물리주소가 존재한다.
- 이러한 맥주소를 바탕으로 검문소와 같은 역할을 하며 주소를 확인하며 이 데이터가 내게 오는게 맞는지 내가 처리해도 된느지 확인
- 흐름제어 순서제어 등을 작업한다.
- 즉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정확한 주소로 전송하고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계층이다.
물리계층
- 데이터는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일을 하는 계층이다.
- 물리 계층은 전기적 신호를 외부에 노이즈로부터 보호하는 케이블 약해진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리피터가 존재하게 됩니다.
- 즉 전기적 신호를 변형없이 전달하는 것이 물리계층의 목적이다.
- 데이터링크와의 차이점
- 데이터링크는 도로의 신호체계를 관리한다면 물리계층은 도로 자체를 관리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