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오픈미팅 후 ~ 1시간 30분 정도 진행
- 사전 조사
- 궁금한 부분
- 개발 관련 면접 경험있는지, 면접 스터디 경험
- 학습 내용의 복습과 면접상황(전형)준비의 비율
(6 : 4)
- 학습이 비율이 높다면, 월요일 공유 세션 준비 및 활동 비중 up
- 면접상황 비중 높다면, 월요일 세션 간략히, 금요일 체계적 진행
- 이력서 작성해보기 ( 혹은 검토 활동)
O or X
: 선택사항 - 나는 필요하다고 생각
- 인성면접 준비 필요
O or X
ㅇ:월1회 - IT 대기업 (네카라쿠배당토오...), 선호 도메인 중심 스타트업, 아직 미정
- IT대기업은 조금 더 학습방향, 태도, 성장가능성 , ..
- 소규모 스타트업은 기술 구현, 과제테스트, fit
- 간단한 자기소개 및 인사 (40분)
- 교육학, 산업공학 → 창업프로젝트 → 부트캠프
- 스터디 요일 및 시간 확정 (5분)
- 구상해온 스터디 방식 소개 (20분)
- 스터디 이유
효과적인 학습
- “메타인지”,면접전형 준비
- “코테랑 이력서는 떨어트리기 위함, 면접은 뽑기 위함”,“피드백”
데브코스 중 학습방향 및 태도 설정 가능
(인성? 최종?)- 최종면접은 단순 기술보다,
학습태도 및 방향에 대한 질문이 대다수더라
- 당장 면접보는 것이 아니라 5개월의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반영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
- 비전공자인데 CS지식 어떻게 공부? (내가cs공부하고있는지, 안했다면 앞으로추가)
- 책을 읽었다. → 중요사항 정리라던가 블로그 정리 활동등 있는지?
- 내가 배운 지식 / 프로젝트에 대한 피드백 어떻게 받습니까?
- 프로젝트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 어떻게 해결? 고민의 증거는?
- 진행방법
- 인성, 이력서 잠시 제외하고 일반적 상황 설명 (기술면접)
- 크게 2가지,
지난 주 모의면접 관련 정보 공유,
이번주 모의면접 주제 선정
- 구체적인 스터디 진행 방식 의논 후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