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ct hook form과 zod를 같이 사용하려고 하는데 정확힌 zod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런타임의 에러를 잡아줄 수 있다고 하는데 잘 와닿지 않습니다..
- vercel과 깃허브 액션을 연동해서 자동 배포하는 시스템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vercel에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연결하면 vercel에서 자동으로 브랜치마다 push 이벤트를 트리거해 프리뷰 버전으로 배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이를 develop, main 브랜치의 push 이벤트에서만 배포되도록 변경하라는 말씀이신가요…?
- 게시글 수정 로직에서 이미지 처리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후자대로 하면 저희가 관리할 상태가 많아지는것 같아서 저희는 기존 로직처럼 구현하고 싶은데 멘토님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api 협의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
- api가 저희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았는데 백엔드에게 api를 수정해달라고 하면 또 저희는 그걸 기다리느라 개발을 잘 못할 것 같습니다. 일정이 더 딜레이 되느니 맘에 들지 않는 api response라도 저희가 잘 custom해서 개발하자는 의견이 많은데
- api를 프론트에게 잘 맞게 백엔드에게 수정 요청하는 소통 능력 vs 좋지 않은 api를 이용해서 잘 구현하는 능력 중에 어떤게 더 중요할까요?
- 그리고 저희의 상황이라면 멘토님은 어떻게 행동하실지 궁금합니다
백엔드의 역할과 프론트엔드의 역할 그리고 그 경계에 대하여
백엔드와 소통을 하면서 프론트엔드의 역할이 어디까지인가 그 경계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주제를 크게 잡아서 죄송하지만 전체적으로 여쭙고 싶습니다!!
Chakra UI 의 wrapping 기능만 있는 컴포넌트의 필요성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능이 전혀 없는, css 속성만 몇가지 추가된 컴포넌트를 만들어도 괜찮을까요?
LayoutWrapper = ({ children, ...props }: ComponentProps<typeof Container>) => { return ( <Container width=“100%” p={0} {...props}> {children} </Container> ); };
const wrapperStyle = { width: “100%”, p: 0 } <LayoutWrapper {...wrapperStyle} /> <LayoutWrapper {...wrapperStyle} /> <LayoutWrapper {...wrapperStyle} />
공통 레이아웃에서 전역 상태관리 사용여부



저희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헤더와 바텀네비게이션바를 공통 레이아웃으로 묶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zustand 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은 상태를 전역으로 관리하려고 하는데,
이 부분들을 전역 상태로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 앱 상태(봉사자 앱, 보호소 앱) → prop 으로 제어
ex)
APP_SHELTER
, APP_VOLUNTEER
- 페이지 상태(어떤 페이지인지) → 라우터로 제어
ex)
PAGE_SIGNUP
, PAGE_SIGNIN
- 헤더 상태 → local state 에 가까움
ex)
DEFAULT_HEADER
, SEARCH_HEADER
, DETAIL_HEADER
- 바텀 네비게이션바 상태 → 라우터로 제어
- 바텀 네비게이션바 visibility
- selected button 상태
- 검색창의 키워드 상태 → 전역
- 메뉴 클릭 여부 → 전역
API 에 대한 생각
- API 가 화면에 보여지는 데이터만 제대로 존재하고,
-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부족한 백엔드와 협업해야하는 경우
⇒ 백엔드에서 주는 API
response
형태(어떻게 묶여있는지)에 대해 너무 세세하게 피드백하는 것보다, 프론트엔드 쪽에서 API 응답을 가공하여 보여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답변: BFF 형태로 가면 안된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프론트가 원하는 응답을 갖다 줘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