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주제 및 선정 배경(기획의도)

사람들마다 특별한 시간을 보낸 특별한 장소가 있다.
이런 추억을 공간에 남겨 그 곳을 다시 방문할 때 열어볼 수 있고, 함께했던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면 어떨까?
[프로젝트 FILM]을 통해 우리는 특별한 시간을 보낸 장소에 기록(필름)을 남기고, 함께 시간을 보낸 사람과 이 추억(필름)을 공유하여 시공간을 넘은 소통을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구현 내용 요약
- 카카오 소셜로그인 기능으로 간편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할 수 있다.
- 지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필름(게시물)을 생성, 열람, 삭제할 수 있다.
- 지도에서 필름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홈 화면에서 필름의 미리보기를 할 수 있다.
- 사용자검색을 통해 필름 열람 권한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 마이페이지에서 내 필름과 공유받을 필름을 확인할 수 있다.
활용장비 및 재료(개발 환경)
- 공통
- 스크럼, 회의
- 게더타운, 디스코드, 노션, 슬랙
- 프론트
- 개발환경설정 : react(create-react-app)(^17.0.2), craco(^6.4.2)
- 언어 : typescript(^4.1.2)
- 포맷터 : eslint(7.32.0), prettier(^2.5.0)
- 테스트 라이브러리 : storybook(^6.4.1)
- api 통신 : axios(^0.24.0)
- 상태관리 : context api
- 라우터 : react-router-dom(^6.0.2)
- 스타일 라이브러리 : emotion(^11.7.0, ^11.6.0)
- 지도 : react-map-gl(^6.1.18)
- CI/CD : github actions
- 배포환경 : aws s3, cloudfront
- 백엔드
- 개발환경 : JDK 17
- 주요 사용 라이브러리
- Spring boot 2.5.6
- jpa 2.6.1 hibernate
- lombok 1.18.22
- oauth2-client 2.5.6
- jwt 3.18.2
- Database
- h2database 2.0.202
- MySQL 8.0.25
- CI/CD: github actions
- 배포환경 : AWS ec2 / S3
- 문서화 도구 : restdocs
프로젝트 구조
페이지 구조
- 와이어프레임

-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 API 모델
- API 스펙 이미지 추가
기대 효과
- 코로나로 인해 주위 사람들을 자주 만나지 못하는 지금,
코로나 블루
라는 새로운 현상도 생겨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서비스는 주변 사람들 또는 나 자신과의 유대감을 높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 단순히 사진과 장소를 확인할 수 있는 기존의 갤러리 또는 클라우드와는 다르게
다른 사람들과의 공유
또는나 자신과의 공유
를 통해 그날의 기억을 온전히 기록함으로써 보다 더 그날의 기억을 또렷히 기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흐려져가는 추억이 아니라 추억에 대해 이야기 했던 기록들도 간직함으로써 힘들 때 혹은 지칠 때 버팀목이 되어 줄 수 있는 서비스가 되고자 노력하였다.
- 또한 미래에 확인할 수 있는
필름 생성
기능을 통하여 본인 혹은 함께 하고싶은 사람 앞으로의 추억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 이로 인해 과거의 추억을 특별한 때에 다시 상기시킬 수 있으며, 같은 장소에서의 추억을 다른 누군가와 공유함으로써 그 장소를 한층 더 특별한 공간으로 만들어주도록 하였다.
- 본 서비스를 통해 우리가 사진들로만 간직할 수 밖에 없었던 기억들을 보다 입체적으로 간직하여 바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나무같은 존재가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