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으로 해야할 일(BE+FE)
- 유저스토리 작성
- MosCow 기준으로 분류하기
- 요구사항 명세
- 유저 이름은 몇글자… 이런 세부사항들
- 상태코드 관리
FE
- 화면기획
- ..
BE
개발 전 정해야 할 사항
- 협업툴 설정(Github, Jira) → Github Issue, Project
- 포매터(Naver) 사용 → CI/CD checkStyle config 추가
- 스크럼 마스터? 팀장? 정하기
- Git Commit Convention정하기
- intellij git commit template 적용
- 깃모지?는 사용하지 않도록 규칙
- 패키지 구조?
- 팀원들끼리만 통일하면 된다
- 상태코드 관리
- API 문서화 → RestDocs로 하고나서, 나중에 Swagger로 변환해서 제공 가능함
- 브랜치 전략
- 깃 플로우 등, 브랜치마다 aws 개발 환경 세팅
개발 전 해야할 것
- 유저 스토리 기반으로 이벤트 스토밍
- 유저스토리, 화면 기획 기반으로 API SPEC & 테크스펙 작성
- ERD
- CI/CD 셋업
- 예외
- Luce — Victory 팀에서 진행한 방식
- CustomException 따로따로 만들다 보니, 약간 통일성이 없어졌던 경험
- 상태코드와 메시지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ErrorCode(Enum) 존재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enum ErrorCode{ POST_NOT_FOUND(400, "해당 Post 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 private final int status; private final String mess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