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이 DOM Tree생성하고 바로 그리는걸로 알았으나 ⇒ css tree를 그리고 render tree를 생성한다는 것과 레이아웃, 페인트, 합성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어떤 css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성능차이를 낼 수 있다는 것
- react에서 immer.js를 권장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다가 임시팀 멘토님의 설명으로 이해했습니다
- 클로저 클로저라는 패턴을 왜 쓰는지 이해가 안갔었지만, 타 언어의 Private을 js에서 자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 for과 forEach는 같은것이라 알고 있었지만
⇒ forEach는 요소들을 순회하면서 꺼내기 때문에 독립적인 스코프를 가지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 문제를 forEach로 풀다가
return
continue
가 안되는 차이도 알았습니다.
- instanceof 1주차 과제 피드백으로 인자 타입 검사를 할때 typeof로만 구분이 가능하다 알았지만 ⇒ 피드백을 통해 instanceof로 특정 class인지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즉시 실행함수가 단순히 별도의 함수실행코드 없이 바로 함수실행하게 하는 용도로만 생각했었는데, 함수내부의 변수를 외부에서의 접근으로 부터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질문 사항
- innerHTML에 부정적으로 알고 있었는데 강사님께서 강의에서 자주 쓰시는 걸 보고 나의 생각과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멘토님은 innerHTML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는 자주 사용하시나요?
- 부트캠프 출신이 인식이 안좋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 다른 언어로 공부를 하다 JS를 공부하다보니 궁금한 점이 몇가지 생겼습니다. JS의 경우 자료형 검사에 관해서 매우 관대하다보니 이에 따라 예외 케이스도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자료형으로 인한 버그를 어떻게 방지하나요? 또 private과 같은 접근 지시자를 설정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특정한 변수나 함수를 외부에서 참조하지 않도록 권장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클로저 같은 비교적 강제적인 방법부터 변수나 함수 이름에 어떤 표기를 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요즘은 협업을 하거나 내부 구조를 잘 모르는 코드를 쓸 때를 가정해서 객체 지향적인 프로그래밍을 통해 한 객체가 다른 객체의 프로퍼티를 직접 조작하는 것을 지양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현업에서 DOM을 조작할 때도 HTML을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수정하나요?
- 서류 탈락의 경우 어떻게 피드백, 분발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코테 탈락의 경우 추후에 기업 블로그에 올라와서 이렇게 풀 수 있구나를 아는 반면, 서류 탈락의 경우 자소서나 이력서의 어디를 고쳐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